1차 세계 대전 중 참호에서 악전고투하는 병사의 상황을 간단히 묘사한 후 위의 병사가 당시 유럽 정치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이러한 상황에 처했는지를 설명하고, 이 병사의 운명이 어떻게 되었을지 합리적으로 추론하라.
위의 소설을 읽고 글 속 배경보다 오년이 지났다고 가정하여 인물 2의 입장에서 인물 1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라.
위의 문제는 각각 영국과 독일의 역사시험과 문학시험의 예이다. 오지 선다형의 객관식 시험과 단답형 서술 위주의 시험이 전부인 우리나라 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시험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한 모범 답안은 무엇일까? 환타지적 상상력으로만 가득 채운 답안이 우수 답안일까? 아니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과학적 이론에 근거한 상상력에 근거해 써 내려간 답안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그러한 능력은 어떻게 길러지는 것일까? 그들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공부 방법을 비교하며 그 해답을 고민해 보고자 한다.
대한민국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은 일단 문제집을 꺼내는 것이 공부의 시작이다. 문제집을 꺼내서 학원에서 배운 만큼 문제집을 푼다. 그리고 문제집을 덮는다. 이것이 대부분의 한국 학생들이 공부하는 모습이다. 언제부턴가 공부하면 문제집을 푸는 것이라는 등식이 만들어 진 것이다. 문제집을 만들어 낸 출판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깊지 않은 사고력과 암기력을 요구하는 문제들만 가득한 문제들을 풀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몰입하기 보다는 내가 찾아낸 답을 정답지와 확인하는 일이 거의 대 다수 학생들의 공부법이다.
우리 아이들이 문제집과 씨름하는 동안 세계의 아이들은 다른 공부를 하고 있다. 그 공부의 시작은 바로 생각하기 교육이다. 노벨상의 3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유대민족의 탈무드 교육도 그러하고 책을 읽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끊임없이 토론하며 상대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유태인들의 도서관 예시바도 생각과 토론하기 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100명이 모이면 100개의 의견이 존재하는 교육, 스승과 제자라는 권위 및 서열과 상관없이 각자가 가진 의견을 피력할 수 있고 생각의 한계를 스스로 정하지 않는 공부와 교육이 창의성을 길러주고 그 창의성이 개인과 국가의 경쟁력이 된다.
공부의 결과를 확인하는 시험은 어떠한가? 다섯 개의 정답에서 하나의 정답을 정확하게 많이 골라낸 학생이 우수한 학생으로 등급화 되는 곳이 우리나라다. 대학입학시험에서 논술 시험이 있다고 하지만 평소 서술 및 논술 교육에 많이 노출되지 않았던 학생들은 대학교 논술 시험을 위해 고액의 논술 선생님 혹은 학원에서 단기 논술수업을 받아야만 한다. 고액의 논술이 의미하는 것이 그만큼 논술을 가르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자가 드물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렇게 속성 재배된 논술 실력으로 거의 모든 학생들이 비슷비슷한 답안을 제출한다고 한다. 대학에서 논술 시험을 치르는 이유는 변별력이 떨어진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대체해 논술이라는 변별력 도구를 통해 우수한 학생을 뽑아내고자 하는 것이 대학의 의도인데 그 시험제도에 맞춘 또 다른 비교육적 방법이 생겨난 것이다.
창의력은 탄탄한 지식의 조합에서 비롯되며 지식의 조합에서 생각은 아교와 같은 역할을 한다. 창의성의 중핵은 생각이다. 생각의 힘을 키우는 교육이 어려서부터 습관화 된 나라의 교육과 한 가지 정답 찾아내기에만 급급한 교육을 받은 나라의 교육의 열매의 차이는 명약관화한 일이다. 국가의 제도적 시스템을 바꾸면 정답 찾기 교육의 한계점을 더 쉽게 극복할 수 있다고 이 땅의 많은 교사들이 말한다. 하지만 교육제도가 바뀌지 않는다 해도 교육을 바꿀 힘이 바로 우리 교사들에게는 있다. 교육의 제 일선에 있는 우리 교사들이야말로 교육의 모습을 바꾸어갈 자들이다. 국가가 바꾸지 않으면 내가 바꾸어 나가면 된다. 중 고등학교가 당장 내신 성적과 대학입시라는 현실에 막혀있는 곳이라면 입시 시스템에서 자유로운 초등교육에서 과감하게 제도와 맞서서 아이들에게 질문하고 또 질문하며 그들을 생각의 공간으로 밀어 넣어보자. 정답만 고르는 것에 익숙한 아이는 생각의 환경에서 살아남지 못하겠지만 생각의 크기를 키운 아이가 정답을 찾아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생각을 키우고 논리를 키우는 공부 속에서 더 많은 학습에의 흥미가 생겨나고 그 곳에서는 문제푸는 기계라는 유서를 쓰고 자살하는 학생은 없을 것이다.
될 성 싶은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고 한다. 될 성 싶은 교육의 떡잎을 책임지는 초등 교사들이여 우리가 앞장서서 생각 키우기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그 길에 우리 아이들의 행복도 이 나라의 밝은 미래도 들어있다. 그리고 그 교육이 시대의 의무를 다한 교육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