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와 돈은 같은 부대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부유함 넉넉함 속에서는 명예를 얻을만한 업적을 이룰 수 없다는 의미일 것이다. 편안함 행복함 속에서는 위대한 업적이 탄생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사기를 쓴 사마천은 곤경과 가난이 사람을 분발하게하고 걸작을 만들어 낸다고 말하며 이를 발분저서라고 표현했다. 가슴에 쌓인 분과 한을 글로 탄생시키고 이 글이 다시 내일의 희망과 용기로 된다는 의미를 발분저서는 담고 있다. 역경이 고난이 업적을 만들어 낸 사례는 수없이 많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가 그러했으며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가 그러했다
글이 사람의 울분을 어떻게 순화시킬까? 글을 쓴다는 것은 내 마음속 울분을 지면위에 쏟아냄으로써 내 울분을 객관화 시키는 과정이다. 내 맘속 격정을 글로 쏟아내는 과정에서 내 화가 한 번 걸러지고 지면위에 쏟아놓은 내 울분들을 다시 한 번 읽을 때 나는 독자라는 제 3장의 입장이 된다. 그리고 그런 과정을 통해 이지적으로 타자의 관점에서 내 울분을 생각하게 된다. 여과의 과정을 거치며 울분은 점차 누그러들고 사그러든다. 그리하여 글이 카타르시스의 역할을 하며 필자에게 새로운 해결책을 스스로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아이들이 괴롭다고 신음하고 있다. 인터넷 및 신문지상을 채우는 학교관련 기사들이 학생들이 괴롭다고 아우성을 치는 듯 하다. 그리고 그만큼 선생님들도 괴롭다. 괴롭고 아프고 힘든 아이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치자.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정화하고 자신의 괴로움을 이겨내는 방법을 안내하자.
통섭교육의 대가 최재천 교수는 글쓰기가 모든 안다는 것의 최종 목적지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안다는 것이 시험지에서만 빛을 발하는 현대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되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글을 쓰면서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내면을 객관화하여 되돌아봄으로써 자신을 돌이켜 보는 자성의 기회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글쓰기를 통하여 자신의 어려움을 이겨낸 안네 프랑크와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고등학교에서 보호 관찰 대상인 아이들과 마약 중독에 걸린 아이들에게 글쓰기 수업을 통해 '희망'을 가르친 에린 그루엘을 통해 우리는 글쓰기의 치유기능을 이미 검증받았다.
이젠 글쓰기를 통한 변화가 우리 아이들에게 일어날 시간이다. 역사적 인물에게서가 아닌 그리고 나하고 거리가 먼 딴 세상 속 이야기가 아닌 바로 내 아이들에게서 일어난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