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말이 유행했다. 칭찬의 긍정적인 효과를 말한 것이다. 하지만 아이들의 교육에 있어서 칭찬만이 만사는 아니다. 칭찬만 받고 자란다면 어린이 되었을 때 바람직한 사람으로 자라지 않는다. 아이는 칭찬받을 일과 꾸지람 받을 일을 동시에 하면서 살아간다. 꾸지람 받는 일에 칭찬을 일삼는다면 아이는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모르게 될 것이다. 자신의 옳고 그름을 구분하지 못해 버릇없는 아이로 커갈 것이다. 그래서 유태인의 속담에 회초리를 아끼면 자식을 망친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요즈음 부모들은 학교에서 칭찬만을 요구하고 있다. 꾸지람 받을 일에 야단치면 따지기 일쑤다. 잘못된 지식으로 부모가 자식을 망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가정에서도 칭찬만으로 자식을 키울 수 없다는 것을 경험한 부모들이지만 무리하게 칭찬을 요구하는 것이다.
학교라는 현장은 여럿이 함께 지낸다. 그래서 비교를 하고 규칙을 지키도록 한다. 때로는 잘못된 행동에 대한 훈육도 필요하다. 교사들이 힘든 것은 멋대로 키운 아이들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아이는 늘 성공과 실패, 승리감과 좌절감을 동시에 맞보고 살아간다. 그렇기 때문이 칭찬만 가지고 교육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런 아이들에게 칭찬이라는 묘약만 사용하라고 하니 잘못된 일이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자존감을 갖도록 하는 일이다. 자존감이라는 말은 자아존중감이라고도 한다.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일이야말로 아이가 커서 행복한 어른으로 만드는 지름길이다. 자아존중감이라는 말은 무엇인가? 그것은 ‘나는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야.’, ‘나는 사랑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이야.’, ‘나는 기꺼이 남을 위해 하고 있어.’ 라고 말하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다. 이러한 믿음이 아이 스스로에게 소중한 존재로 인식시켜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게 한다.
자아존중감을 망치는 부모들은 과정보다 결과만 가지고 아이를 대한다. 아이가 무슨 상을 타고, 몇 점을 받았으니 칭찬과 꾸지람을 일삼는 부모들이다. 결과만 가지고 칭찬하면 자존감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하지만 자존감을 높이는 부모들은 결과보다 과정을 먼저 들추어낸다. 예를 들어 아이가 100점을 받아왔다고 하자. 자존감에 도움 되지 않는 부모는 이렇게 말한다.
“100점이나 받았어. 과연 내 아들이야.” 하지만 자존감을 키우는 부모는 이렇게 말한다. “숙제를 그렇게 잘하더니(책을 많이 읽더니, 학습장 정리를 잘 하더니) 그렇게 높은 점수가 나온 게 틀림없어. 앞으로도 숙제 잘 해라. (책 많이 읽어라.) 등의 말로 칭찬받을 일을 하는 원인을 찾아 칭찬하고 격려해준다.
꾸지람도 마찬가지다. “60점밖에 못 받았어. 대체 그 모양이니? 영수는 80점이나 되던데.” 하지만 자존감을 높이는 부모는 이렇게 말한다. “괜찮아. 널 할 수 있잖아. 스마트폰만 안 하면 충분히 할 수 있을 거야.” 중요한 것은 과정이 아니라 원인을 찾아 격려하고 생각하도록 해 주는 교육 방법이다.
하버드 대학교 조세핀 킴 교수는 말했다. “자존감은 성공하는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자존감의 핵심은 자기 가치를 인식하는 일이며 자신감의 원천이다.” 아이들도 안다. 자신은 만능이 아니라는 사실을. 하지만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생각한다. ‘나는 참 소중한 사람이야. 그러나 나에게도 단점이 있어. 하지만 장점도 많아.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일을 만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도전할 거야. 비록 실패를 한다고 하다라도 말이야. 인생은 충분히 살 가치가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