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의 대가를 묻는다면 소크라테스를 들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질문으로 제자를 가르치려고 했다.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에는 답을 알려주는 법이 없다. 수많은 질문을 던져 스스로 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일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제자들은 답을 찾는 훈련을 통해 깨달음의 중요성을 배우고 무지를 깨달았다. 사람들은 소크라테스가 하는 가르침의 방법을 산파법이라고 불렀다. 제자들이 깨달음으로 가도록 하는 일은 산파가 임산부에게 아이 낳도록 힘을 불어주고 도와주는 일이라고‘
오늘날에도 질문은 아이를 지혜롭게 만든다. 유태인 부모들도 학교에 다녀온 아이에게 ‘무엇을 배웠니?’ 묻지 않는다고 한다. ‘무슨 질문을 했니?’라고 묻는 것이다. 그리고 집에서도 늘 질문의 연속이다. 주로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질문을 주고받는다고 한다. 유태인들이 자주 읽는 책이 있다. 성경책과 탈무드가 그것이다. 이렇게 질문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서 배움에 즐거움은 갖는 아이로 만든다는 것이다. 우리 부모들도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부모들이 되었으면 좋겠다.
아이에게 하는 질문은 생각을 열어가는 질문이 좋다. 그런데 어떤 질문이 아이의 생각을 열어가는 질문일까?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가장 초보적인 질문은 아이가 어떤 사실이나 정보를 알고 있는가를 묻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은 아이의 대답은 예, 아니오. 00예요. 등의 대답을 들을 수가 있을 것이다. 즉 아이의 대답은 기억이나 회상 등에 의존하여 답을 말하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은 퀴즈 등에서 하는 질문은 주로 이런 방식이다. 부모는 이런 질문을 통해서 아이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정답을 요구하는 질문을 폐쇄적인 질문이라고도 한다.
다음은 대답거리가 여러 가지 선택할 수 있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개방적인 질문이라고 한다. 즉 질문이 요구하는 뜻에 대해서 이전에 갖고 있던 생각과 판단에 비추어서 대답하는 질문이다. 다음으로 아이의 의견을 듣는 질문이다. 질문을 들은 아이는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판단하며 평가하여 대답하는 질문이다.
아이들이게 하는 질문을 좀 더 자세히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식이나 정보를 묻는 질문 (예) 미국 제 17대 대통령 이름이 뭐지?
2) 차이점이나 공통점을 찾아내기 위해 묻는 질문 (예) 도시와 시골에 사는 사람들의 모습은 무엇이 다르니? (예) 잘 자라는 식물의 환경에는 어떤 점이 있을까?
3) 아이가 갖고 있는 지식이나 정보로 생각을 넓혀가도록 묻는 질문 (예) 사람들이 일을 하는 이유는 무엇이니? (예) 사람들은 일을 통해 서로 어떻게 도움을 줄까?
4) 옳음을 판단하여 가치를 선택하고 의견을 제시하도록 하는 질문 (예) 무조건 절약하는 것은 좋은 일이니? 왜 좋다고 생각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