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3학년 교무실에서 자주 나오는 이야기다. 담임선생님들과 교과 선생님들이 입시 전력 회의를 하면서 입을 모았다. 대학 입시에서 자기소개서 쓰기가 중요해졌으니 국어 교과 시간에 지도를 해 주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나아가서 독서 활동이 중요해졌으니 국어 시간에 그것도 함께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다. 어느 선생님은 말이 나온 김에 아예 1학년부터 국어교과 시간에 자기소개서 쓰는 수업을 했으면 좋겠다는 주장을 한다.
대학 입시에서 자기소개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학원가에서는 이런 강좌가 인기를 끈다. 일부 첨삭 지도를 해 주는 학원은 고액이라 엄두도 못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심지어 자기소개서를 대신 써 주는 업체까지 생겨나고 있다.
교사는 학습자의 필요에 맞게 교육내용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이다. 사교육비 절감 차원에서도 학교에서 자기소개서 쓰기 지도를 해 주는 것은 당연한 현실이다. 그리고 자기소개서는 글쓰기 영역이다. 국어 교과 시간에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화법과 작문’ 교과 단원에 자기소개서 단원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오랜 시간을 갖고 깊게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자기소개서는 다양한 입시 전형 영역 중에서 일부에 불과하다. 사설학원에서는 자기소개서가 당락에 결정적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학의 입장은 다르다. 더욱 학생의 학교생활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고, 화려한 문장으로만 꾸민 자기소개서는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다.
국어 시간에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을 주장하는 선생님들은 대학 입시의 권위에 매몰돼 있는 느낌이다. 자기소개서 작성은 충분히 혼자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그런데도 이것을 다수의 학생에게 다른 선택을 배제하고 이것에만 매달리게 하는 교육은 바른 선택이 아니다. 이런 식의 논리라면 국어 시간에 대학 면접 준비를 하고, 나아기서는 이력서 작성법, 계약서 작성법, 취업 면접 준비 등을 해야 한다. 한술 더 떠서 교사들의 대입 추천서 작성법까지 강의를 해야 하지 않나. 솔직히 우리 교육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인원이 대학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고, 또 대학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것이 문제다. 이런 현상은 사회 구성원의 질적 향상의 혜택보다는 쓸데없는 자본 및 노동의 낭비다. 자기소개서 쓰기를 전교생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교육과정에서는 교육 내용과 체계 등은 학생의 미래 삶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실제 수업 내용이 학생의 현실적 삶과 연결 고리가 있을 때 학생들의 집중력과 학습 동기 유발에 좋다. 그러면서 여전히 묻고 싶은 것이 있다. 과연 자기소개서 쓰기가 삶과 밀접한 수업의 그릇이 될 수 있는 것인가.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를 교과서 교육과정으로 이끌어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일상생활에서 겪는 모든 경험이 다 교육의 재료이자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가치 있는 경험이어야 하고, 깊은 의미가 있어야 한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국어 교육의 텍스트 문제도 생각해 본다. 국어 교육의 텍스트는 시집이나 소설책 등 문학 작품을 통해서 접할 수도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도 접할 수 있고, 노래의 가사나 광고 문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아이들을 사랑한다는 젊은 교사들은 고리타분한 교과서를 집어 던지고, 아이들이 좋아하는 텍스트에 집중하기도 한다. 아이들이 재미있어 하기 때문에 수업의 밀도도 높다고 한다.
하지만 수업용 텍스트는 인간의 삶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표현한 것으로, 인간의 삶과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가치가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텍스트를 통해서 개인의 삶을 고양하고, 인생과 사회에 대한 안목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교육에는 고정된 정답이 있을 수 없다. 실질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해서 당장 가르치고, 눈앞에 이익이 없다고 해서 가르치지 말아야 한다는 결정은 쉽지 않다. 마찬가지로 자기소개서 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국어 교과의 범주를 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자기소개서 쓰기는 대학 입시라는 문화 현상이다. 그 자체의 독자적인 교육적 전승 가치는 존재한다. 그렇다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선택과 집중이라는 상황에 답이 있다. 전교생이 땀을 흘릴 것이 아니라, 필요 학생만 하면 된다. 방과후교육활동 시간이나 기타 비교과 활동 시간에 할 수 있는 영역이다.
바쁠수록 돌아가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 말은 진짜 돌아가라는 의미일까. 이 말은 서두르면 놓치는 것이 있으니 천천히 생각해보라는 말과 동의어다. 그런 의미에서 자기소개서 쓰는 요령보다 자기소개서에 담을 내용을 체험하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삶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스스로 고민하면서 그 답을 찾아가게 해야 한다. 현실적 삶과 관련이 있는 것은 장차 직업을 갖고, 먹고 살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아를 찾는 과정을 가르치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엄청나게 입시 교육을 하지만 정작 아이들은 어느 학과에 진학해서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한다. 그것은 자아를 탐색하는 과정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육의 영원한 초점은 ‘나’이다. 나의 꿈, 나의 직업, 나의 삶 등 내 이야기를 어떻게 엮어 나갈 것인가를 고민하는 수업이 필요하다. 이것이 미래 삶과 연관되고, 내가 추구해야 할 과제이다. 나와 너 우리를 생각하고, 삶의 울타리 그 자체를 응시하는 수업의 내용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희망을 준다. 이런 것이 쌓이면 자기소개서 쓰기는 가르치지 않아도 저절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