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을 하고 나서 1년 가까이 시간이 흘러간다. 많은 사람들이 묻는다. "재미있느냐고?" 그렇다. 삶이 재미있다. 여유가 있어서 좋다. 교장이라는 직책은 평상시에는 별로 중요한 일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만 보면 교장이 학교에 없어도 된다는 발상을 할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학교에서 교장의 존재가치가 약화된 것 같다. 교장의 가치가 약화되고 선생님의 가치가 존중되면 좋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는 학교의 가치가 같이 약화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얼마전 시골에 사는 쌍둥이 엄마가 하소연을 해왔다. 올해 중학교에 들어간 쌍둥이 아들이 1학기 중간고사 성적표를 받아왔는데, 둘의 평균점수를 합쳐도 60점이 안 된다는 것이었다. ‘꼴찌들에게도 희망이 있을까요?’라는 물음이었다. 원래 중학교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표는 앉아서 보지 말고 누워서 봐야 한다. 초등학교에서 느슨하게 교육시킨 어머니들이 지켜야 할 수칙이다. 점수에 신경을 안쓰고 지내다가 갑자기 중학교의 성적표를 받아 보면 놀라 뒤로 넘어가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공부가 무엇인가?'물어야 한다. 지나치게 학교 성적 점수에 얽매일 필요는 없다. 예전과는 달리 세상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성적의 사다리 보다는 성취를 지켜봐야 한다.무엇을 하겠느냐는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공부는 못해도 꿈이 야무져야 한다. 그런데 쌍둥이 중 큰애는 프로게이머, 작은애는 KTX 기관사라고 한다. 학교 시험 성적은 현재 얼마나 선생님이 가르친 것을 많이 기억하여 그대로 베껴내는 능력이다. 이것에만 만족하여서는 안된다. 앞으로 성적은 베끼기가 아닌 얼마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고 도전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핵심 문제는 이 과정에서 소통이 가능하는가이다. 질문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 조금 성적이 떨어졌다고 그것이 전부인줄 알고 기가 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인성이다. 공부 못해도 인성이 참 좋은 아이들이 있다. 다른 사람에게 인사도 잘 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 요청을 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응대를 하는 인간 관리 능력이다. 인성이 좋아야 협업이 가능하고 공감이 가능하다. 이 시점이 바로 시작점이다. 공부는 꼴찌여도 친구들보다 잘하는 거 하나는 있는가이다. 운동을 잘하든 악기를 잘하든 노래를 잘하든, 자신을 발견하도록 지원하는 일이다.
공부 잘하던 극소수 아이들은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시험으로 정해지는 자리에 가 있지만 나머지는 정말 예측 불허다. 세상을 좀더 넓게 보면 오히려 공부에 주눅 들었지만 저마다의 숨은 장점을 살려서 더 크게 성공하여 즐겁게 살고 있는 친구가 한둘이 아니다. 최근 더욱 다양해진 직업군 중에서 성적으로 차지할 수 있는 직업은 매우 한정적이다. 더구나 꼴찌에게는 이제 올라갈 희망만 남아 있지 않은가. 우리의 인생에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야말로 부모가 해야 할 중요한 몫이다. 꼴찌에게도 얼마든지 기회와 희망이 있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