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7.8℃
  • 구름많음강릉 13.2℃
  • 흐림서울 19.8℃
  • 구름많음대전 26.5℃
  • 구름조금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4.0℃
  • 구름많음광주 25.2℃
  • 구름많음부산 20.3℃
  • 구름많음고창 24.7℃
  • 구름많음제주 22.0℃
  • 흐림강화 11.2℃
  • 구름많음보은 26.7℃
  • 구름많음금산 26.2℃
  • 구름많음강진군 23.7℃
  • 맑음경주시 27.6℃
  • 흐림거제 1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경제적인 의사 결정 능력과 자녀 인성 교육

신용카드로 물질적 욕구를 바로 해소하며 자라는 아이들. 무척 풍요로워 보이지만, 실상 그들은 소유의 진정한 기쁨을 느껴보지 못하며 자라나는 불쌍한 세대이다. 그런 그들에게 용돈교육은 인생을 바꿔줄지도 모를 좋은 교육방법이다.

신용카드, 요술방망이처럼 느끼며 자라는 아이들
요즘 아이들이 ‘카드’라는 단어를 떠올릴 때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신용카드다. 부모 세대는 그나마 신용카드가 생기기 훨씬 전부터 동전이나 지폐를 가지고 물건을 구입하고 저축을 하고 용돈을 받아쓰던 경험이 있다. 그럼에도 채 10년도 사용하지 않은 신용카드를 통한 소비 생활에 익숙해져 버려 이제 신용카드를 빼고 생활을 한다는 것은 거의 상상하기 어렵다. 어른들마저 이러한데 요즘 아이들은 태어난 순간부터 화폐가 아닌 오로지 신용카드를 통한 지출에만 익숙해져 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카드하면 곧 플라스틱 카드인 신용카드를 떠올리게 된 것이다.
게다가 신용카드는 마법 같다. 엄마 아빠 손을 잡고 쇼핑하러 간 대형마트에서 카트 한 가득 물건을 싣고 계산대 앞에 오면, 아빠가 건네준 신용카드로 카트 안의 온갖 물건이 모두 우리 집 소유가 된다. 대형마트의 그 어떠한 물건이라도 바로 내 물건이 되는 것이다. 가지고 싶다는 생각만 하면, 그리고 그 물건을 카트에 담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것이다. 신용카드만 있다면, 물건을 구입할 때 어려운 의사 결정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신용카드는 요술을 부리는 요술 지팡이가 되어 버렸다.
신용카드 덕택에 물건은 넘치도록 소유하게 되었다.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혹은 학원에서도 어디를 가도 학용품과 생활용품이 넘친다. 부족함이 없다. 설령 없다고 하더라도 또 곧 구입하면 된다. 필요하거나 혹은 가지고 싶다는 욕구를 즉각적으로 채우는 것은 능력이며 자연스럽다. 그렇게 할 수 없는 사람이 불행하다고만 생각한다. 가지고 싶은 물건을 바로 구입할 수 있는 부모님은 그 욕구가 무엇이 되었든, 즉각적으로 자식이 원하는 것을 채워주려 한다.

노력 없는 풍요 속의 결핍
그러나 그렇게 즉각적으로 자녀의 욕구와 결핍을 채워주어도 그들은 전혀 행복해하지도 만족해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유행의 속도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을 만큼 빨라져 소유한 물건은 금세 헌 물건이 되어 버린다. 결국 아이들은 본인들이 가지고 있는 물건에 대해서 영원히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더군다나 그 물건을 가지기 위해서 들인 노력과 시간이 하나도 없다. 물건 하나를 갖기 위해서 포기하거나 희생한 것도 없다. 그렇기에 그 물건, 즉 학용품이 되었든 장난감이 되었든 자녀에게 특별한 의미가 없다. 특별한 의미가 없기에 부모님이 사주어도 별로 감사한 마음도 없고, 설령 가지고 있다 잃어 버려도 안타까운 마음도 생기지 않는다. 밤새 이불 뒤집어쓰고 울 정도로 그 물건을 잃어버린 허전함과 후회가 들지 않는다. 찾으려 애쓰지 않는 것도 당연하다.

즉각적 욕구 충족, 진정한 행복 빼앗아
아이들 잘못이 아니다. 자녀들 앞에서 현금인 화폐나 기나긴 저축을 통한 소비가 아니라 신용카드를 통해서 편리하게 소비한 결과다. 자녀의 즉각적인 욕구를 채워주는 것이 자녀를 위한 길인 줄 알고 저축이 아닌 신용카드를 통해서 바로 바로 사 줘 버릇한 잘못된 지출 결과다. 소중한 경험이나 소중한 물건이 없게 된 소비 환경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부모 세대는 요즘 자녀들이 미처 갖지 못한 소중한 추억들을 하나둘씩 가지고 있다. 늘 언니나 형이 물려준 옷만 입다 몇 년 만에 처음 설빔으로 받게 된 새 옷이나 혹은 새 신발, 그도 아니면 새 학년 들어 갖게 된 새 학용품에 대한 기억들이 그것이다.
문방구나 옷 가게에 가면 무수히 많고도 똑같은 물건들이 쌓여 있지만, 그곳에 있는 물건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나만의 것을 가졌다는 그 벅찬 기분을 요즘 아이들은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한 것이다.
그 물건을 갖기 위해서 쓰디쓴 인내와 기다림의 시간을 가졌고, 또한 그 물건이나 옷을 아끼고 아껴 쓰는 그 마음에서 특별한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마치 어린왕자에 나오는 왕자와 장미의 관계처럼 특별한 경험과 행복감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한 것이 요즘 아이들이 가지는 풍요 속에서 오는 결핍감이다.

공허한 풍요는 아이들의 사회성에도 악영향
소유를 하고 또 그 소유한 물건과의 특별한 이야기를 쌓아가는 특별한 시간을 갖지 못한 요즘 아이들에게 그래서 사람과의 관계도 쉽지 않다. 혹은 아주 쉽게 치부해 버린다. 얼마든지 새로운 물건으로 대체해 버려 소유한 물건에 대해 별반 생각이나 느낌이 없는 것처럼, 사람과의 관계도 쉽게 형성되고 또 쉽게 대체될 수 있는 것이 되어 버렸다.
친구들끼리 함께 어울리기 위해 모인 자리에서도 각자 가지고 있는 휴대폰이나 오락기를 가지고 혼자 놀기에 여념이 없다. 그 친구를 위해서 희생한 시간도 포기한 것도 없기에 친구와의 관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도 않는다. 헤어지면 그만이다. 오히려 쿨하다는 생각마저 한다. 하지만 정작 외롭고 어려울 때 함께 할 친구가 없기에 그 많고 많은 관계 안에서 늘 고독하다.
세상은 혼자서 꿋꿋하게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2000년 전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우리 모두는 알고 있다. 아무리 혼자서 잘났다고 하더라도 세상을 혼자서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데 과거 그 어떠한 세대보다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녀들에게 가르쳐 주어야 할 것은 비단 영어와 수학 교육만은 아닐 것이다. 신용카드를 통한 빠르고 편리한 소비로 인해 만들어진 인내력의 결핍은 결국 사회에 나가서 사람과 부딪히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가장 기본적인 처세술마저 배울 수 있는 연습 과정이 삭제된 당연한 결과다.

스스로 용돈 관리하는 습관 들여야
잘못된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자녀에게 용돈을 주자. 그리고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의사 결정권을 주고 기다려 보자. 필요한 물건이 있다고 무작정 사주지 말고 그 물건이 꼭 필요한 것인지, 이미 가지고 있는 물건 중에서 대체할 만한 것은 없는지 생각할 시간을 주자.
지연된 소비를 통해 자녀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비단 욕구 통제능력만이 아니다. 그보다는 자신의 진짜 욕구와 가짜 욕구를 구별해 타인의 도움이 아닌 스스로 돈을 모아 구입한 물건에 대한 각별한 감정과 행복감이 더 클 것이다. 그 물건을 소유하기까지 들인 공과 시간 및 포기한 것들에 대한 모든 보상이기에, 스스로 체험하고 경험한 과정에서 얻은 결과이기에 절대로 잊을 수 없다.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자기주도학습을 용돈교육을 통해서 가르칠 수 있다. 주도적인 의사 결정 능력이 바로 자기주도적인 학습 계획 하에 실천해 보는 것의 다른 표현이기 때문이다.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스스로 공부 계획을 세우지 못하여 자기 인생 계획마저 타인이나 부모가 정해주는 대로 살아가는 요즘의 자녀들은 결국 자기 인생에서 주인공으로 살아가지 못한다. 넘치도록 소유하고 있으며, 수많은 관계 망에서 살아가지만 결국 쓰디쓴 외로움과 불행만을 맛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을 영원히 성장하지 않는 애 어른으로 캥거루처럼 옆에 끼고 교육시키려 하지 말고,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독립할 수 있도록 당장 실천해 보자. 아이들의 의사 결정 능력을 키워주는 것은 개인의 희망찬 미래 설계뿐만이 아니라 한국의 미래 희망을 키울 수 있는 텃밭임을 간과하지 말자.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