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01 (금)

  • 흐림동두천 18.5℃
  • 흐림강릉 18.8℃
  • 흐림서울 18.6℃
  • 흐림대전 14.7℃
  • 대구 14.8℃
  • 울산 14.5℃
  • 광주 13.9℃
  • 부산 14.6℃
  • 흐림고창 13.6℃
  • 제주 18.0℃
  • 흐림강화 18.5℃
  • 흐림보은 14.5℃
  • 흐림금산 13.9℃
  • 흐림강진군 15.0℃
  • 흐림경주시 15.3℃
  • 흐림거제 13.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시기별 진로지도 방법

“집을 지을 때 지붕부터 지을 수 있습니까?”라고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니오”라고 대답할 것이다. 모든 일에는 다 순서가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로설계를 할 때면 달라진다. 지붕 먼저 지으려 한다. 그러다 보니 진로설계가 어렵다.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잘 하는지와 관계없이 대뜸 직업만 정하려다 보니 목표 직업 선정도 어렵고 선택 후에도 확신이 없다. 연재 마지막에는 진로의 기초부터 지붕까지 어떻게 설계해야 하고, 각 시기마다 필요한 진로지도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초등학교_ 다양한 경험으로 밑거름을 만드는 시기
저학년 교실 게시판에 반 아이들의 장래희망이 적힌 것을 떠올려보자.
선생님, 의사, 간호사, 경찰관, 요리사 또는 대통령. 아이들이 생활 주변이나 TV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10개 안팎의 직업이 대부분이다. 자신의 적성과는 상관없이 들어본 적이 있거나 자신이 생각할 때 멋있다고 생각되는 직업들을 장래희망에 적는다. 아직 진로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냥 자신이 아는 직업 중 가장 좋아 보이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더불어 초등학교 시기는 흥미와 능력 같은 적성이 굳어지지 않아 변화가능성이 많은 시기이다. 따라서 이때는 진로목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충분한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경험의 양과 함께 중요한 것은 다양하게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대부분 아이가 조금만 흥미를 보이면, ‘이게 아이가 갈 길이구나’하고 그 분야만 집중해서 시킨다. 예를 들어, 수학을 잘 하거나 재미있어 하면 수학영재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일찍부터 한 분야에만 몰입하는 경우, 인문학적 자극과 예체능 분야의 경험 등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 수학이 정말 적성에 잘 맞는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문과적 성향이 더 큰 아이라면 나중에 자신의 적성을 깨달으면서 많은 방황을 하게 된다. 아이가 선호하는 분야를 잘 체크하되, 그것이 전부인 양 생각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수학은 이과적 적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기보다는 학습 능력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진로 적성검사를 해볼 만한다. 아직 아이들이 어린 시기이기 때문에 미래를 100% 정확하게 예견하는 결과를 보여줄 수는 없다. 하지만 매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의 추이를 지켜보는 것은 현재 아이가 흥미를 느끼고 있는 분야를 파악하고, 이를 충분히 경험하게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특정 분야만 유난히 흥미가 높게 나온 경우에는 현재의 경험이 한 분야에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보는 계기로 삼는 것이다.

중학교 _ 집중적 경험과 계열선택의 시기
우리나라 교육환경에서 중학교 시기는 진로선택의 첫 단추를 끼우는 시기이다. 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큰 계열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중학교 때 선택이 평생을 결정짓는 것은 아니다. 중간에 마음이 바뀌면 바꿀 수도 있다. 하지만 계열을 선택하는 순간부터는 선택의 범위가 확 줄어들게 되며, 바꿀 때에도 시간과 경제적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즉, 이 시기의 선택이 인생을 설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계열선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 초등학교 시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흥미를 보이는 분야를 추려 심화된 경험을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일주일에 하루가 아니라 일주일에 4일, 쉬운 난이도가 아닌 어려운 난이도로 해보는 것이다. 경험의 양을 키우고 난이도를 높였을 때도 계속해서 선호를 보인다면 집착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계열을 선택해도 좋다. 반면 조금 시간이 길어지거나 어려워졌다고 포기하는 것은 단순 선호에 해당한다. 특정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선호를 보이거나 일부분만 선호하는 것으로 이 정도 선호를 바탕으로 관심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계열은 수직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계열 자체는 수평적이지만 우리나라는 수직적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성적이 좋으면 인문계, 성적이 나쁘면 특성화고’라는 식의 사고이다. 이러한 편견에 갇혀 적성보다는 타인의 시선에 의한 선택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에게 맞는 방향으로 계열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은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