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영토 분쟁에다 일본의 역사인식 문제까지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다. 그렇다고 동북아를 대표하는 한·중·일 3국이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특히 한국은 누가 보아도 경제적, 군사적 강국을 양 옆구리에 끼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동북아 3국이 분쟁을 벌이면 3국 중 약체에 속하는 한국은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은 스스로 동북아의 중심체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만 한다. 그 길은 바로 동북아 3국이 상호간 상생의 길을 도모하도록 중재국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동북아 국가 사이에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하자는 것인데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유럽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다.
유럽 통합의 발판, 에라스무스(Erasmus) 몇 달 전 EU본부를 방문한 적이 있다. 당시 유럽연합 관계자는 앞으로 유럽에는 전쟁이 없을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그 이유로는 유럽 국가 간 학생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유럽 젊은이들이 친구가 되었기 때문이란다. 필자는 이웃 국가 간 이해증진에 만남만큼 강력한 무기가 없다고 본다. 젊은이들의 만남을 통해 EU를 하나의 운명공동체로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유럽연합의 사례는 동북아 문제해결에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다. 유럽 통합의 기초는 ‘에라스무스(Erasmus)’ 같은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프로그램에는 유럽 전역의 4,000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간 유럽 내 원하는 국가, 원하는 학교에서 수학하고 학점을 이수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수많은 유럽 학생들이 서로 친구가 되고 상호간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간다. 대학원생을 위해서는 ‘에라스무스 문두스(mundus)’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과정은 마스터 학위를 따기 위해 한 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국가의 콘소시엄대학에서 공부하는 코스다. 다른 나라 혹은 도시로 이동하면서 문화체험과 공부를 함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유럽연합은 유럽 내 대학의 학위를 통합하는 기준을 만들고, 이를 전체 대학에 적용하고 있다. 현재 수십만 명의 학생들이 에라스무스 프로그램을 통해 모국이 아닌 유럽 내 다른 국가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그리고 갈수록 교류학생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외에도 유럽 통합에 교사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교사들의 유럽에 대한 이해, 통합 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데 그것은 바로 ‘코메니우스 프로그램’이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