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3일의 초등교사임용시험에서 현직교사 1525명이 다른 시도에 응시한 것으로 드러나, 농촌교단 탈출이 만성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초등교원수급에 비상이 걸린 도단위 교육청들은 교대특별편입생과 교육감 추천 교대 신입생 확충, 기간제 교사 확보등의 자구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현직교사의 교원임용시험 응시는 지난 7월의 대법원 판결에 따라 가능해진 것으로, 초등임용시험에 지원한 현직 교원은 1598명이었다.
전국적으로 8129명을 모집하는 23일의 초등교사임용시험에서는 모두 1만 2707명이 지원했으나 실제 응시자는 1만 5명으로 경쟁률은 1.23대 1이었다. 이는 분리 모집하는 경기지역의 경인교대특별편입생 1260명을 제외한 숫자로, 전국적으로 8884명 모집에 8089명이 응시한 지난해의 0,91대 1보다는 높은 경쟁률이다.
지역별로는 대전(2.53대 1), 전남(2.04대 1), 서울(1.94대 1), 광주(1.84대 1), 대구(1.64대 1), 부산(1.28대 1)이 평균경쟁률 1.23대 1을 웃돌았고, 전북(1.11대 1), 제주(1.10대 1), 경기(1.05대 1), 울산(1.02대 ), 충북(1.00대 1), 강원(0.97대 1), 경북(0,95대 1), 경남(0.94대 1), 인천(0.91대 1), 충남(0.88대 1)은 경쟁률이 낮았다.
도단위 중에서는 전남이 2.04대 1의 경쟁률은 보여 0.88대 1의 충남과는 비교되고, 서울과 경기도의 중간지역에 위치한 인천은 광역시임에도 모집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전남은 지난해에는 응시율이 30%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연령제한을 57세로 대폭 높이고, 교대특별편입생(219명)과 교육감 추천 교대입학생(40명)의 지원에 힘입어 교원수급에 한숨을 돌리게 됐다. 전남지역의 경우 교대특별편입생은 3년, 교육감 추천 입학 교대생은 5년간 도내 근무가 의무화된다.
1260명 정도의 초등교원이 필요하나 900명의 모집공고를 낸 충남은 그나마 응시자가 795명에 불과해 내년도에는 기간제 교원 충원이 불가피한 실정이며, 교대특별편입생과 교육감 추천 교대 입학생제도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