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원 강사 경력자의 출제위원 선정과 복수 정답 파문으로 홍역을 겪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내년에는 출제와 관리방식에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고건 총리는 27일 수능 파문의 책임을 물어, 이종승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의 해임을 이 원장의 임명권자인 최송화 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에게 요청하고, 수능시험의 근본적인 개선마련을 위해 후임 원장을 조속히 선임토록 지시했다고 총리실이 밝혔다.
고 총리는 아울러 민관합동기구로 구성키로 한 수능출제관리개선기획단을 조기에 가동해 출제위원 선정방식, 시험출제, 수능보완관리, 관계 법령 등을 개선하라고 교육부 등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교육부는 이에 따라 교육부 차관을 단장으로 출제위원선정개선위원회(위원장 이종승 한국교육개발원장)와 출제체제개선위원회(위원장 최운실 아주대 교수)를 두고 조만간 본격적인 활동에 착수, 내년 3월까지 출제위원 선정과정 투명성 제고와 출제 및 검토과정 개선 등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교육부는 정답 확정 전 공식적인 이의제기 및 심사절차 제도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인터넷 입시학원 사이트에 수능 출제위원 선정 및 유사지문 출제 의혹 관련 글이 게재된 경위에 대한 수사를 경찰청에 의뢰했다고 27일 밝혔다.
27일 수능출제위원 선정 등 논란에 대한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윤덕홍 부총리는 "수능논란과 관련해 국민들에게 깊이 사과하고, 수험생 및 학부모님께 위로 드린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밝힌 수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능출제위원추천심사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정대학 편중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2004학년도 출제위원 156명 중 특정대학 출신이 90명으로 약 58%를 차지하고 있고 이 중 65명(42%)이 특정대학 사범대학 출신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평가원이 수능난이도 조절을 이유로, 출제 경험자들을 대거 활용함으로써 출제위원 사전노출과 출제위원 선정시 특정인의 영향력 행사 우려 등 부작용의 소지도 많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금년도 출제위원 중 4회 이상 참여자가 14명, 2년 연속 참여자가 38명에 이르렀다. 출제위원 중 교사위원의 70%(33명 중 23명)가 참고서를 집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