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수업현장은 수업혁신이라는 이름의 수많은 트렌드 중심 수업 기술과 전략들로 차고 넘친다. 솔직히 말하면 수업혁신 이전에도 교단 수업개선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많은 처방이 다양한 형태로 등장과 퇴장을 반복했었다. 어느 한 분야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수많은 전략과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은 역으로 가장 효과적인 처방이 없다는 것과 같다. 즉, 수업혁신이라는 이름으로 국어수업에서유통되고 있는 최근의 수업 기술과 전략들 또한 만능열쇠는 아닌 셈이다.
수업은 수업철학과 언어를 서로 공유하는 것 최신 수업 방법이 국어수업의 질 개선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거나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까지 담보한다고 믿는다면 큰 오산이다. 수업은 단순히 교사의 수업기술에 따른 그 교과의 자료와 활동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다. 한 시간의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서로 공유해야 할 것은 교과 본질을 해석해 내는 교사의 수업철학과 언어이다. 한 시간 동안 하나의 수업 주제에 맞는 생각, 색깔과 코드, 결이 비슷한 언어로 교사와 학생이 서로의 사고체계를 조율하며 공유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수업이다. 이를 위해 교사는 수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핵심 질문과 발문들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생들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수업을 채워나가야 한다.
만약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의 머릿속에 마지막까지 남아 있는 기억이 수업시간에 활용했던 흥미 있는 자료나 활동들이라면 그 수업은 무언가 잘못된 수업설계이다. 수업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지 못한 채, 단순히 화려한 자료와 흥미 있는 활동 등 수업기술만이 강조된 수업은 제아무리 최신의 교수·학습 기술과 전략을 활용했다 할지라도, 내용과 방법들만 화려하게 포장된 기형적인 수업일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교육과정이 보이는 주제 언어 중심의 ‘수업 수다’ 수업 방법 이 수업은 흥미나 활동 중심의 수업모형이 아니다. 트렌드나 소비적 개념에 따르기보다 수업 본질에 접근하고자 국어과적 사고력 신장을 최적화시키는 데 필요한 핵심 질문과 발문 중심의 ‘언어 중심 수업모형’이다. 이 모형의 특징은 ‘학생들의 수다’를 문제 해결을 위한 생산적 개념의 ‘주제 수다’로 끌어내고, 참여시키고자 했다는 점이다. 한 시간 동안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한 ‘교사와 학생의 수업 수다’로 수업 목표가 달성되는 수업 즉, 수업 주제를 중심으로 사고체계 과정을 드러내는 언어 중심의 수업설계이다.
≫ 수업의 실제 ? _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중심 수업을 위한 핵심 발문 수업 이 수업의 목표는 학생들이 설명하는 글을 읽는 데 필요한 방법을 찾아내어 글 읽기 상황에서 이를 적용할 줄 아는 핵심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단원 : 5-11. 여러 가지 독서 방법(1/10) 성취기준 : 읽기(4) 여러 가지 독서 방법이 있음을 알고 이를 적용한다. 학습 목표 : 글의 종류와 읽는 목적을 고려하여 읽고 그 내용을 소개하는 글로 나타낼 수 있다. 본시 주제 : 대단원 도입 및 설명하는 글 읽는 방법 알기 본시 학습 목표 : 1) 글의 종류에 따른 읽기 방법을 알고 ‘설명하는 글’의 읽기 방법을 알 수 있다. 2) ‘설명하는 글’의 읽기 방법을 적용하며 글을 읽을 수 있다. 3) ‘설명하는 글’의 읽기 방법을 통해 글을 효율적으로 이해하는 태도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