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아침. 수능을 마치고 등교하는 아이들의 발걸음이 예전보다 아주 홀가분해 보였다. 그러나 지난해보다 어려웠던 수능 때문인지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았다. 생각보다 수능을 잘 보았다고 말하는 아이들이 별로 없는 것으로 보아 수능이 어렵긴 어려웠던 모양이었다.
어려웠던 수능에 아이들의 반응 또한 제각각 이었다. 평소 모의고사 성적이 중위권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경우, 수능을 망쳤다며 불만을 토로하였다. 반면, 상위권 학생은 변별력이 있는 수능이라며 내심 반기는 눈치였다.
1교시 국어 시험을 망친 상위권 학생 중 몇 명은 아예 남아있는 정시모집을 포기하고 재수를 하는 쪽으로 마음을 굳힌 듯했다. 특히 수능 최저에 합격 여부가 달려있는 아이들은 시중 입시학원에서 발표한 가채점 등급표를 비교해가며 불안해하였다.
한 아이는 채점 도중 “내가 이러려고 수능 시험을 봤나? 자괴감이 들 정도로 괴롭다.”라며 현재의 심정을 늘어놓아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아직 정확한 데이터가 나와 있지 않기에 섣불리 낙담하거나 합격 여부를 단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기존의 경우, 가채점 결과가 빗나가 수험생을 두 번 울린 적도 있었다. 따라서 수능 성적표가 발표(12월 7일)될 때까지 차분하게 기다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쨌든, 끝난 수능에 미련을 두지 말고 앞으로 남아있는 대학별 고사와 정시 전략을 짜야 할 것이다. 반드시 그런 이유는 아니겠지만, 재수(再修)할 경우를 대비하여 아직 남아있는 고등학교 마지막 기말고사에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현행 입시체제에서 일선 학교의 가장 큰 고민은 수능 이후 수업 파행일 것이다. 사실 수능 이후, 고3의 교육과정은 무의미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실 아이들이 등교해도 특별히 할 일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아이들을 무작정 학교에 안 나오게 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정해진 수업일수(190일 이상) 때문에.
학교 차원에서 수능 이후의 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실정에 맞게 짜서 운영하는 것이 좋다. 막연히 시간 때우기 식보다 수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담임 선생님은 수능이 끝났다고 아이들을 무작정 방치하기보다 목표하는 대학에 진학할 때까지 끝까지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아이들 또한 마지막 유종의 미(美)를 거둘 수 있도록 학교생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