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고,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인간의 학습 과정과 교육과정을 대신해주는 첨단 학습기계나 교육적 기술은 발전하지 않는다. 손가락 하나만 클릭하면 모든 걸 저절로 배울 수 있는 ‘만능의 기술’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사회에서 디지털 사회로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오프라인에서 인간적 접촉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전통적 교육은 온라인이나 사이버 공간으로 옮겨졌고, 수업방법이나 수업기술 역시 ‘교육혁명’이라 불릴 만큼 혁신적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인간은 여전히 전대미문의 문제를 앞에 두고 고뇌하면서 해결책을 찾아 나서고, 한 가지 분야의 전문성이나 기술적 수단으로 해결할 수 없는 난해하고 복잡한 문제 앞에서 고개를 숙인다.
기술이 모든 것 해결해 주지 않는다
기술 발달이 넘볼 수 없는 영역은 또 있다. 바로 체험으로 얻어지는 공감 능력이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 할지라도 직접 자신이 체험하지 않으면 나의 지식이나 지혜로 체화되지 않는다. 물론 체험하지 않아도 ‘머리’로는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가슴으로 느낄 수는 없다. 그래서 체험적 느낌이 없으면 다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기 어려워진다. 공감 능력은 책상에 앉아서 머리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직접 체험한 사람만이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지금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최대의 위기는 ‘교육도 힘 안 들이고 가만히 앉아서 저절로 될 것’처럼 생각하는 데 있다. 디지털 기술과 융합기술, 사물 인터넷을 비롯한 초연결화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인간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편하게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되었다. 머리를 쓰거나 몸을 움직이는 수고로움 없이도 말이다. 하지만 이런 기술적 편리함으로 인해 사람들은 어렵고 힘들게 공부해서 얻는 깨달음의 소중함과 가슴으로 느끼는 공감 능력을 잃어버리고 있다.
그 많던 학습방법은 다 어디로?
우리가 교육을 받든, 스스로 학습을 하든 여전히 변하지 않는 진실은 바로 ‘공부하는 주체의 분투 노력을 기술이 대신해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최근 이러닝(e-Learning), 모바일러닝(m-Learning), 유비쿼터스 시대를 주도했던 유러닝(u-Learning), 소셜 미디어 시대를 이끌어가는 소셜러닝(Social Learning)이나 스마트러닝(s-Learning), 관련 학습주제나 내용에 관한 내용을 선행학습하고 학교에서 동료들과 토론학습을 하는 거꾸로학습(Flipped Learning 또는 f-Learning),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을 섞어서 만든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또는 b-Learning) 등 참으로 다양한 학습 방법이 신출귀몰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이 같은 학습 방법이 과거에 비해 질적으로 우수한 학습 효과를 발생하고 있는가?
변하지 않는 학습의 본질… 체험적 지혜 길러야
학습의 본질은 학습 앞에 일렉트로닉(electronic), 모바일(mobile), 유비쿼터스(ubiquitous), 스마트(smart), 거꾸로(flipped), 혼합(blended) 등과 같이 유행에 따라붙어 다니는 각종 형용사가 결정해주는 것이 아니다. 형용사는 학습 방법을 바꿔줄 뿐, 학습의 본질을 변화시키지는 못한다.
여기서 말하는 학습의 본질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체험적 지혜’를 얻는 과정을 의미한다. 인간이 기술적 힘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학습활동을 전개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기술이 대신해 줄 수 없는, ‘인간의 고뇌에 찬 결단과 고된 노동을 통해 얻어내는’, 자신의 몸과 마음으로 체화되는 ‘체험적 지혜’를 의미한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이나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은 뛰어넘을 수 있지만, 부단히 질문을 제기하며 답을 찾아가는 지성이나 체험적 깨달음을 통해 온몸으로 공감하는 지혜는 결코 대신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공부를 통해 배워야 하는 것은 기계가 대신해줄 수 없는 공감 능력이다. 나에게 손해가 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발 벗고 나서서 타인의 아픔을 치유하려는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자세와 노력은 기계가 보여줄 수 없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다.
공부는 연민이 아니라 함께하는 공감이다
보이지 않는 관계가 겪고 있는 아픔을 알게 되었을 때 그런 아픔을 온몸으로 체험해본 사람은 그 사람의 아픔을 나의 아픔처럼 공감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우리는 단순한 연민(sympathy)의 감정보다 공감(empathy)을 느끼게 되며 그 사람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는 수고를 아끼지 않는다. 연민은 상대방이 처한 상황을 불쌍하게 생각하지만 그게 전부다. 상대는 나와 관계없는 사람이다. 어쩌다 불행을 경험하는 장면이 목격되어 상대의 아픔에 잠시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할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하지만 공감은 느끼는 감정으로만 그치지 않고 용기 있는 결단을 통해 고통으로 위협받고 있는 현장으로 달려간다.
공부는 먼발치서 느끼는 연민이 아니라 가까이서 아픔을 같이하는 공감이다. 공부는 연민의 감정을 넘어 역지사지가 되어 타인의 아픔을 나의 아픔처럼 느끼는 측은지심으로 공감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감 능력은 내 몸을 움직여 체험하면서 가슴으로 느끼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진정한 공부는 머리로 계산하는 이해타산이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는 공감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