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등지급 폭 두고 논란##
일반직 공무원들에는 2월 중 지급되는 성과상여금이, 교원들에게는 3월 지급도 어려울 전망이다. 성과급 조기지급이 어려운 이유는 차등지급 폭을
두고 정부부처간에 이견이 좁혀지지 않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최근 성과상여금 지급 방식을 두고 중앙인사위와 논의를 거듭하고 있으나, 차등성과급 지급 비율에서 견해차가 크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20% 정도의 차등지급을 계획하고 있으나 중앙인사위는 30∼50%는 차등지급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교원성과급은 90% 균등 10%
차등 방식으로 4월에 지급됐다.
교육부는 교원단체간의 협의를 거쳐 성과제도개선위원회를 운영해, 성과급 지급방식을 결정할 방침이다.
중앙인사위관계자에 의하면 올해 성과급 예산은 모두 2700억원
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이다. 그는 올해 성과급 지급은 기관의 자율성과 직원들의 의견수렴을 확대하며, 성과 우수자에 대해서는 해외연수 대상자
선정 시 우선권을 주는 등 비금전적 보상이 확대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밝혔다.
일반직 공무원들은 부서별 차등지급이나 개인별차등지급방식으로 지급되고 있다. 개인별 로는 S, A, B, C등 4등급으로 나눠 각각 100%,
70%, 40%, 0%비율로 지급된다. 부서별로는, 부서별 차등 지급된 성과금을 개인별로 균등하게 나누거나, 다시 개인별 차등지급하는 등의
방식으로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