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무렵입니다. 긴긴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저는 등교하면 우선 진한 커피 한 잔을 마셔야 합니다. 뜨거운 커피에 든 카페인이 있어야만 피로하고 고단한 일상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 독일에서 주목받는 문화비평가 중 한 사람인 한병철 교수는 『피로사회』라는 책을 통해 이 시대의 문제를 진단하고 있습니다. 현대사회는 참 피로한 사회입니다. 그의 책 첫 장을 열면 ’시대마다 그 시대에 고유한 질병이 있다.‘라는 대단한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21세기 신경증 질환 역시 그 나름의 변증법에 따르고 있지만 그것은 부정성의 변증법이 아니라 긍정성의 변증법이다. 이러한 질환은 긍정성의 과잉에서 비롯된 병리적 상태라고 할 수 있다. /17P
보편화된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의 과잉은 인류 전체의 저항력을 떨어뜨릴 위험으로 작용한다. 같은 것이 지배하는 시스템 속에서 저항력이란 용어는 오직 비유적인 의미로만 쓰일 수 있다. 같은 것이 지배하는 시스템 속에서 저항력을 강화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면역학적 저항은 언제나 강조적 의미에서 낯설다고 할 수 있는 상태, 이질적인 상태를 향해 일어난다. 같은 것은 항체 형성을 초래하지 않는다. 비면역학적 배척은 같은 것이다. /18P
규율사회의 부정성은 광인과 범죄자를 낳는다. 반면 성과사회는 우울증 환자와 낙오자를 만들어 낸다. /24P
우울한 인간은 노동하는 동물로 자기 자신을 착취한다. 물론 타자의 강요 없이 자발적으로, 그는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이다. 강조걱의미의 자아 개념을 여전히 면역학적 도식 바깥에 있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일과 능력의 피로이다. 아무것도 가능하지 않다는 우울한 개인의 한탄은 아무것도 불가능하지 않는다고 믿는 사회에서만 가능한 것이다. 더 이상 할 수 있을 수 없다는 의식은 파괴적 자책과 자학으로 이루어진다.
우울증은 긍정성 과잉에 시달리는 사회의 질병으로서 자기 자신과 전쟁을 벌이는 인간을 반영한다. /28P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한 말은 ‘피곤하다’였던 것입니다. 집에 가서도 학교에서도 늘 피로를 달고 다니면서 커피를 마시고, 주기적으로 홍삼을 다려 원기를 회복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한병철 교수가 말하는 성과를 위해 달리고, 멀티태스킹이 자랑스러운 피로중독자였던 것입니다.
하지입니다. 낮이 가장 긴 날입니다. 해는 하루 일 긴 시간을 빛을 우리에게 비추어주면서 피로할 것 같습니다. 어제 잠시 남부지방에 비가 내렸지만 턱없이 부족한 강수량으로 푸슬푸슬한 밭에는 콩 모종이 말라가고 있습니다. 힘든 기색이 역력합니다. 도서관에는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서 시험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기말고사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아침 독서부터 시작하여 수업을 받고, 보충과정과 동아리 활동까지 소화하는 아이들도 피로해 보입니다. 또 함께하는 교사들의 모습도 힘들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대한민국은 모두가 피로합니다. 졸업을 앞둔 대학생들은 취업이 힘들고, 중년의 부모는 또 노년 걱정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유치원생부터 노년까지 하지의 땡볕아래 신음하는 밭작물처럼 이글이글 피로함을 달고 서 있는 이 나라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저의 사색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더운 날씨입니다. 건강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