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성향에 맞는 수업방법 찾아 삼만리
‘읽기 영역(Reading Part)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를 고민하던 2015년, 비주얼싱킹 (Visual Thinking) 수업은 신선하게 다가왔다. 2014년부터 읽기 영역을 대본화하여 진행해 온 ‘촌극(skit)’ 발표 수업에 약간의 지루함과 힘겨움을 느끼고 있던 때였기 때문에 더욱 반가웠다.
비주얼싱킹을 수업에 적용하고 평가에 반영한지 벌써 만 3년을 향해 가고 있다. 초창기 비주얼싱킹에 생소하던 학생들과, 동학년·동교과 선생님들과의 갈등도 있었지만 하나씩 해결해가는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윈-윈(Win-Win)의 시간이 었다. 그동안 2번의 수정·보완을 거치면서 체계를 잡기 시작한 비주얼싱킹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나의 비주얼싱킹 수업 및 평가 적용 연도별 특징 및 변화
비주얼싱킹 수업은 읽기 영역의 글을 꼼꼼히 읽은 후, 글과 그림을 이용하여 나만의 방법으로 내용을 정리하고 발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1단계 _ 읽기 영역 텍스트를 중심어에 아랫줄을 그으면서 꼼꼼히 읽게 한다.
◦ 2단계 _ 글의 내용에 관한 질문과 답을 주고받으며, 중요 어구만 설명하면서 내용을 이해하게 한다.
◦ 3단계 _ 글의 구조에 맞는 레이아웃을 고르게 한다.
◦ 4단계 _ 시각적 표현하기를 한다. 시간은 10~15분 정도만 부여하며, 중요 포인트만 글과 그림으로 간략히 묘사하도록 강조한다.
◦ 5단계 _ 마지막으로 공감 나누기 시간을 갖는다. 발표할 때 그림은 줄거리가 되고 연결되어 있는 글은 문장 만들 때 표현의 핵심 도구가 된다.
매 학기를 마치면서 학생들에게 수업평가에 관한 의견을 받아보면 “맵(map)을 구성하고 묘사하는 것이 힘은 들었지만 수업내용은 오래 기억할 수는 있었다”는 반응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다음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진행해 온 수업의 특징과 수정된 변화들이다.
▶ 2015학년도
비주얼싱킹을 처음으로 적용했던 2015년에는 교사가 본문 내용을 분석한 후 글의 내용에 따라 세부적인 틀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제공했다. 한마디로 ‘친절한 맵’이었다. 학생들은 그저 학습지를 받아 빈 공간만 채우면 끝이었다. 아마도 처음 비주얼싱킹 수업을 시작하면서 교사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 부족, 학생들이 해낼 수 있을까하는 믿음 부족, 그리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의도한 수행평가 반영의 명료한 채점 기준 마련을 의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교사의 ‘친절’은 학생들의 잠재 능력과 창의력을 키울 기회를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학생들은 빈칸만 채우고, 교사는 기록이 누락된 곳을 찾아 감점하는 식의 수행평가 방법은 교사의 생각 틀 속에 학생들의 사고를 맞추는 기존의 수행평가와 크게 다를 바 없는 활동이었다.
작은 위안이 된 것은 학생들이 글을 꼼꼼히 읽어야 빈칸을 채울 수 있음을 깨달았다는 점과 모든 글에는 짜임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