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구운동 마을만들기협외회 총무다. 올해 1월 신입회원이 돼 매월 1회 정례회를 갖고 회장, 부회장, 여러 위원들과 함께 뜻을 모아 내가 살고 있는 마을만들기를 구상하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 한편 구운동 주민센터 산하 12개 단체의 회장과 총무는 매월 1회 모여 지역사회 현안을 의논해 협의하고 실천한다. 이 모임에도 총무로서 참석한다.
지난 12일 저녁 6시 구운동 주민센터 2틍 다목적실에서는 10월 단체장협의회 월례회의가 있었다. 단체장협의회 월례회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회순은 늘 일정하다. 회원간 상호인사에 이어 개회사, 국민의례, 단체장협의회장 인사 말씀, 지역 시의원 인사 말씀. 동장 인사 말씀, 주요시책 및 동정 안내, 의안 협의 및 처리, 각 단체 제안, 페회사 순이다.
매월 첫째 목요일 열리는 이 월례회, 이번 달에는 추석 연휴로 인해 12일 열리게 됐다. 이재현 협의회장(주민자치위원장)은 지난 달 열렸던 제21회 경기도민속예술제와 제54회 수원화성문화제 참가에 따른 노고에 감사를 드리며 치하한다. 이 지역 유재광 시의원은 구운동 주차장 문제 해결을 위한 추진사항과 일월공원 공사 마무리 상황을 보고한다.
지준만 동장은 지난 달에 있었던 행사 하나하나를 들어가면 개요를 설명하고 협조에 감사를 표한다. 경기도민속예술제와 수원화성문화제 참가를 빼놓을 수 없다. 예술제 참가단 인원수가 무려 120명이다. 출연진 80명, 응원단 40명이다. 정조대왕 능행차에도 100여 명 이상이 청룡과 황룡을 이끌며 시가행진에서 수원시민들의 환호를 받았다. 구운동은 청룡마을임을 홍보하는 소중한 행사였다고 말한다.
이밖에 추석을 맞이해 ‘사랑의 쌀’ 1,800kg 전달해 180가구가 사랑을 전달받았다. 또 이보다 형편이 어려운 10가구를 대상으로 쌀과 고기를 전달하고 소년가장을 방문해 쌀, 김치, 소고기. 급식카드를 전달했음을 보고한다. 장수어르신에 대한 사진촬영도 주민복지협의체가 함께 했음을 알린다. 추석을 맞이해 주위 이웃을 돌아보는 따뜻한 행사였다.
이어 주민센터 이세희 팀장은 주요시책 및 동정 안내를 한다. 제6회 군들청룡문화제 개최(21일), 참 맛있는 행복밥차 운영(13일), 제61회 수원시 한마음체육대회(14일), 수원천 가을 축제(21∼22일), 수원 맛울림축제(13∼14일), 제4회 수원시민 안전체험 한마당(18일) 등을 안내한다. 그러고 보니 10월에는 좋은 행사가 많다. 각 단체원들은 이 같은 행사를 주민들에게 홍보하야 하는 임무도 갖고 있다.
본격적으로 단체장협의회장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의안 처리 시간이다. 이번 달 안건은 세 가지기 상정됐다. 오는 14일 제61회 수원시 한마음 체육대회 참가에 따른 단체별 인원 참가요청, 1단체 1경로당 자매결연 협약 요청, 구운동 산타 희망 보따리 나눔 행사인데 모두 원안대로 통과됐다. 구운동 산타 희망 보따리 나눔 행사는 오는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인데 주민센터 사회복지팀에서는 기부대상 생필품을 기증 받는다.
폐회 후 저녁식사 시간. 오늘은 특별한 손님이 방문했다. 바로 이필근 권선구청장. 이 구청장은 지난 8월 22일(음력 7월 1일) 열렸던 군들용정제에 직접 참석했다. 9월 22일 김포종합운동장에서 열렸던 경기도민속예술제에 수원시를 대표해 출전한 군들용정제팀 격려 차 방문했다. 행사를 관람하시고 기념사진도 함께 촬영했다. 오늘은 장려상을 수상한 출연진에게 그 노고를 치하하며 삼겹살을 대접한다.
이 구청장은 깜짝 선물도 챙겨왔다. 당일 예술제 출전 기념사진 액자 전달이다. 즉 말뚝이 여성 두 분, 군들 용정제 정규수 추진위원장, 동장에게 뜻 깊은 선물을 선사한 것이다. 저녁 식사도 고마운데 선물까지 챙겨온 이 구청장의 세심함에 감동의 박수가 쏟아진다. 건배사 ‘위해’함성이 힘차게 나오는 순간이다. 청룡 마을 구운동은 이번 민속예술제와 정조대왕 능행차 출연을 계기로 주민들의 단합과 화합을 단단히 다졌다.
끝으로 경기도민속예술제에 참가 성과를 생각해 본다. 첫째, 사라져 가고 있는 우리의 세시 풍속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됐다. 둘째, 군들 용정제에 대해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애향심을 불러일으켰다. 셋째, 우리의 소중한 문화자원에 대한 발굴과 계승이다. 문화자원의 발굴은 문화원이나 전문학자들의 몫이라고 할 수 있지만 계승하는 것은 주민들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