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무현 대통령이 8일 김대중 정권 시절 교육부 장관을 지낸 이해찬 열린우리당 의원을 총리 후보로 지명하자, 교총과 전교조 등 교원단체들과 일선 교원들은 일제히 '총리감으로는 부적절한 인물'이라며 '후보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교원들이 이 의원의 총리 후보 지명에 반발하는 이유는 '공교육 붕괴의 장본인이 사회 통합과 경제회생의 주역이 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교총은 9일 "공교육 붕괴의 단초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학력을 저하시킨 이해찬 전 교육부 장관의 총리 후보 지명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교총은 "이 전 장관이 교사 충원 계획도 없이, 40만 교육자의 절대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98년 교원정년단축을 독선적으로 밀어 부쳐 교실에는 담임조차 배정 받지 못하고, 기간제 교사와 중등교사가 초등교사로 땜질 식으로 충원되는 교육파행이 벌어졌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아울러 교총은 "이 전 장관이 정년단축을 추진하면서, '촌지 거절 교사 우대'등을 표방하며 극소수 교사들의 촌지 수수를 일반적인 현상인양 호도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의 교사에 대한 불신과 교권추락을 부추겼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한가지만 잘하면 무시험으로 대학 갈 수 있다'는 무책임한 발표로 인한 '이해찬 1세대'들의 학력 저하 현상, 교직의 특수성을 무시한 성과급제 도입, 학생 담임선택제 도입 시도 등의 설익은 정책들도 이해찬 전 장관의 실책으로 언급됐다.
교총은 "무리하게 추진한 BK21은 대학교수들을 4·19 이후 처음으로 거리로 나서게 만들었고, 장관 재임 1년 2개월 동안 교육은 가히 혼돈의 연속이었다." "이로 인해 이해찬 씨는 한국교총의 퇴진서명운동으로, 불명예를 안은 채 경질되는 기록을 남겼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전 장관은 총리후보로 나설 것이 아니라 자숙하고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전교조도 9일 "장관 재임 시절 교원정년단축 등 시장주의 구조조정을 교육계에 본격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한가지만 잘해도 대학갈 수 있다'는 허황된 발언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혼란에 빠뜨린 시장주의 개혁의 선봉장을 국무총리로 지명해서는 안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