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품작들을 보면서 우리 교육계의 변화와 열망이 이 정도구나, 한 눈에 알 수 있었습니다. 어떤 작품을 볼 때에는 전율마저 느껴졌습니다.”
제49회 전국교육자료전 심사위워장을 맡은 류희찬 한국교원대 총장은 종합심사평을 통해 “출품 자료의 수준이 지난 대회보다 훨씬 우수했다”고 밝혔다. 특히 “학생들이 어렵게 느끼는 교과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스마트 기기나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작품이 많아진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교육계에서 강조하는 융합교육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창의력·사고력 교육 관련 자료가 많아진 점도 주목했다. 교과 하나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교과나 실생활을 연계한 작품, 자연 보호, 안전, 인성, 진로 등 피상적으로 강조되던 분야에 대한 교육 자료도 출품돼 눈길을 끌었다는 전언이다.
다만 출품작의 90% 이상이 초등 부문인 점은 아쉽다고 했다. 류 총장은 “자유학기제가 자유학년제로 확대되는 시점인 만큼 양질의 교육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라며 “중등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고 했다.
내용 측면에서는 외적인 화려함을 강조한 작품, 자료가 지나치게 복잡한 작품 등이 눈에 띄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자료전의 진정한 의미는 교과서와 같은 지필 환경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장면을 적절하게 지도할 수 있는 독창적인 자료를 동료 교사들에게 소개함으로써 이를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데 있다”며 “소박하면서도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이 많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교사들의 노력과 열정의 집합체인 교육 자료가 금세 잊히지 않도록 교육 당국의 지원을 당부하기도 했다. 류 총장은 “유튜브나 EBS 등과 연계해 작품의 제작 과정을 기록하거나 교육 자료를 장기간 상설 전시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면서 “교육 자료는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할 교육계의 소중한 자산이라는 점에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러 분야 가운데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끈 교과는 과학·특수교육이었다. 심사위원들은 “과학 분야 출품작들은 전체적으로 현장 적용성에 목표를 둔 우수한 작품이 많았다”면서 “현장 교사들이 좋은 과학 수업을 위해 쉼 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올해 심사위원들이 과학 자료를 심사하면서 주안점을 뒀던 부분도 현장 적용성이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학교 현장, 교실 수업,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 초점을 맞춘 결과물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설명이다.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총 7편의 작품이 출품됐다. 장애 학생의 신체 활동 및 이동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겼다. 또 장애 학생들의 입학생활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자료는 바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자료였다는 게 심사위원들의 전언이다.
심사위원들은 “최근 교육자료전에 출품된 작품 가운데 자료가 방대하고 일반화하기 어려운 것들이 다수 있었던 것에 비해 올해 특수교육 영역에서는 교육자료전의 취지와 목적이 잘 반영된 단순하면서도 훌륭한 작품이 출품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