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거사(白雲居士). 흰 구름 속에 거처하는 은둔 선비라는 뜻의 이름이다. 평생 시와 거문고, 그리고 술을 매우 좋아해 스스로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라고 불렀던 고려의 대문호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호(號)이다. 세속의 삶이 혼탁하고 그 속에서 만족 됨이 없을 때 한번 쯤 이름표에 붙여보고 싶은 호칭이다.
9세에 시를 지어 신동이라 불렸던 이규보. 그러나 16세부터 응시한 사마시(司馬試)에 연달아 세 번이나 낙방했다. 그 후 22세에 실시한 사마시에 장원 합격하고, 이듬해 예부시(禮部試)에서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관직을 받지 못하였다. 당시 무신정권 하에 인재를 등용하는 제도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였다.
이규보가 태어난 후 2년인 1170년(의종 22년), 무능하고 안하무인이었던 문신에 화가 난 정중부, 이의민에 의해 무신난이 일어났다. 이러한 시대에 가난하여 무관자(無官者)로 남은 처지의 이규보는 25세에 개경 인근의 천마산에 은거하며 세상을 관조하는 시와 글을 지었다. 백운거사는 이때부터 이규보가 사용한 호칭이다.
세속으로부터 단절당한 불운이 문학사에 빛나는 글을 쓰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고려의 문학정신을 높인 이규보의 대표 작품들 <동명왕편(東明王篇)>,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백운거사어록(白雲居士語錄)>,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 등이 모두 이 시기에 지어졌다. 무관자의 곤궁함을 은둔자로 승화시키면서 문학정신의 부유함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그러나 곤궁함을 못이겨 26세에 산에서 내려온 후 그의 삶은 달라진다. 28세인 1196년 최충헌이 이의민을 죽이고 실권을 잡을 때부터 최충헌 정권의 요직자들에게 관직을 구하는 편지를 썼다. 무관(無官)의 한을 풀려는 그의 노력은 32세 때 시회(詩會)에서 최충헌을 크게 칭송하는 시를 짓고 비로소 이루어진다. 이후 그의 관직은 최충헌과 최우로 이어지는 무신정권 하에 평생 승승장구하게 된다.
이 시기를 두고 그의 인생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극단적으로 달라진다. 타락한 속세의 권력에 아부한 기능적 문필가인가? 무너진 속세를 재건할 현실 참여적 현자인가? 문학사에서는 이규보의 작품이 거대한 하나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다만 그의 생애를 두고는 오늘날까지도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평가가 이어진다.
서양의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 3권 4장에서 좋은 인간의 덕과 훌륭한 시민의 덕이 동일한지 아닌지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답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유는 좋은 인간은 정치체제에 의존하지 않는 반면, 훌륭한 시민은 정치체제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민주정체인지 아니면 과두정체인지에 따라서 훌륭한 시민의 평가는 달라진다. 과두정체에서 훌륭한 시민이 민주정체에서 훌륭한 시민으로 평가되기 어렵다. 반면, 좋은 인간의 덕은 어느 정치체제에서든 탁월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는 가장 좋은 정치체제에서는 좋은 인간의 덕과 훌륭한 인간의 덕이 일치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선의 정치체제가 아닌 경우 좋은 인간은 곤궁함을 겪기도 한다. 이 말은 시민들이 최선의 정치체제를 이루어야 하는 목표를 지닌다는 말이기도 하다.
젊은 시절 스스로 백운거사라 자처하며 자유분방하면서도 웅장한 문장을 썼던 이규보를 생각하며 오늘날의 후학들은 무엇을 염두에 두어야 할까? 그의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에 있는, 같이 출발한 두 배 중에서 뱃사공에게 술(뇌물)을 먹인 배가 더 빨리 간다는 <주뢰설(舟賂說)>, 개를 잡아 죽이는 것에 아파하는 마음이나 이를 잡아 화로에 태워 죽이는 것에 아파하는 마음이 다르지 않다는 슬견설(虱犬說) 등이 우리를 깊은 생각으로 이끌게 한다.
그러나 그의 관직이 높이 올라 1237년 그가 마지막에 받았다는 ‘수대보문하시랑평장사수문전대학사감수국사판예부사한림원사태자대보(守大保門下侍郞平章事修文殿大學士監修國史判禮部事翰林院事太子大保)’라는 긴 직함은 기억되지도 않거니와 아무런 의미나 감흥을 주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