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를 시작하며 주련(柱聯)은 서로 통하는 글귀를 나무판에 새기거나 한지에 써서 기둥을 멋스럽게 장식한 것이다. 그래서 두 장씩 짝하여 글의 뜻이 통하고, 글자 수에 따라 5언 율시와 7언 율시로 나뉘며, 내용으로 보면 기승전결을 이룬다. 한옥에서 세 칸집은 툇마루의 기둥이 넷이라 네 장의 주련이 서로 연관성을 갖고 있으나, 네 칸집은 툇마루의 기둥이 다섯이라 다섯 장 가운데 주련 한 장은 전혀 연관성이 없을 때도 있다. 그래서 주련이 많을 때는 툇마루 안쪽의 벽을 이루는 기둥에도 걸었다. 그래서 주련을 몇 장 걸었는가에 따라서 집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서울 육군사관학교 안에 있는 ‘삼군부청헌당’의 주련은 머리에 연잎, 아랫부분에 위와 아래로 향한 연꽃을 조각하고 글자의 테를 얕게 파내 화려함의 으뜸을 이루었다. 남원의 ‘용장서원’ 주련은 머리에 연꽃 세 송이를, 아랫부분에 박쥐를 새기고 초록색 당초문 테를 두르고 돋을새김을 하여 분위기의 장중함을 더했다. 전북 정읍의 ‘군자정’ 주련은 붉은 연꽃과 초록 연잎 문양을, 옥구의 ‘옥구향교’ 주련은 무궁화를 새겨 품위를 더했다. 전남 고흥의 ‘고흥향교’ 주련은 모란꽃을 올려 부귀를 상징하였고, 곡성의 ‘수성당’ 주련은 학과 영지버섯을 새겨 어르신들의 오랜 삶을 기원하였다.
대부분의 주련은 나무판에 한 줄로 글을 새겼으나 울릉도·독도와 깊은 관련이 있는 울진의 ‘대풍헌’ 주련은 한지에 써서 기둥에 붙였고, 전남 담양의 ‘명옥헌원림’은 두 줄로 새겼다. 향교나 서원은 대부분 유교의 가르침을 글귀로 하였고, 사당·정자·오래된 한옥은 모시는 분이나 집주인이 지은 한시 또는 그분을 칭찬하는 글 또는 자손에게 당부하는 글귀를 걸었다. 그래서 주련을 통해 그 당시의 사건과 이에 따른 조상들의 곧은 절개와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
통영시는 삼도수군통제영이 들어오기 전에 두룡포로 불리던 조그만 바닷가 마을로 일제강점기에 삼도수군통제영을 줄여 통영이라 처음 불렀다. 대한민국은 처음 충무라 이름하였다가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통영 이름을 되찾았다. 배를 타고 들어가는 한산도 제승당을 목적으로 오랜만에 충렬사와 삼도수군통제사 본부를 찾았다. 삼도수군통제사란 관직은 임진왜란 전에는 없었으나 이순신 장군을 위해 새로 만든 관직으로 경상도·전라도·충청도 등 3도의 모든 해군을 지휘하는 지금의 해군참모총장과 같다. 선조 임금이 얼마나 다급했으면 조선 수군의 모든 지휘권을 한 손에 쥐여주면서까지 왜적을 막으라 하였을까?
盟山誓海 浴日補天(맹산서해 욕일보천)
홍살문 아래에서 큼직하게 쓴 충렬사 현판을 올려 본다. 이순신 장군의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널리 알리기 위해 세운 충렬사는 고종 임금이 서원을 정리할 때에도 한산대첩의 현장이라 하여 남겨 두었다.
400살 넘은 동백나무가 반겨주는 가운데 회이족을 몰아내고 강한 지역을 다스려 주나라를 잘살게 한 소공(召公)의 공적에 버금가는 이순신을 기려 강한루(江漢樓)를 두었다. 충성심이 햇빛처럼 환하다는 경충재(景忠齋)와 무예를 존중한다는 숭무당(崇武堂)은 안쪽에 자리 잡고 있다. 문을 들면 신하로서 나라를 위해 몸을 아끼지 않은 장군의 초상을 모신 충렬사(忠烈祠)를 만난다. 충렬사 기둥에 걸린 '욕일보천(浴日補天)'이란 글에서 눈이 떼어지지 않는다. 욕일보천은 고대 중국의 창세 신화에 나오는 문구인데 어찌 충렬사에 걸 수 있었을까?
전쟁을 함께한 명나라 수군제독 진린은 선조 임금과 조선의 신하들이 전사한 이순신의 공적을 업신여기고 한없이 낮출까 걱정되었다. 그래서 이순신은 지략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 성품과 또한 훌륭하다고 칭찬하였다. 그는 명나라로 돌아가기 위해 선조 임금에게 작별 인사를 하면서도 다시 한번 이순신을 칭찬하였다.
“이순신은 경천위지의 재주가 있고, 욕일보천의 공로가 있는 장군입니다.”
이 무슨 듣도 보도 못한 말인가? 옷감은 날줄과 씨줄을 서로 촘촘히 엇갈려 엮어 짜는 것인데 경천위지(經天緯地)는 씨줄과 날줄을 하늘과 땅에 비유하여 이순신 장군이 세상의 일을 잘 계획하여 짜임새 있게 다스렸다는 뜻이다. 욕일보천(浴日補天)은 욕일과 보천으로 나뉜다. 욕일은 희화욕일(羲和浴日)의 줄임말로 고대 중국의 창세 신화에 나오는 태양을 목욕시킨다는 이야기이다.
희화에게는 태양 아들이 열 명이나 있어 동쪽의 해 뜨는 곳에 살았다. 해 뜨는 곳을 부상(扶桑)이라 하는데 그곳에서 해 지는 곳까지 열여섯 곳의 쉼터가 있었다. 태양 아들 열 명은 하루에 한 명씩 하늘로 올라가서 땅에 빛을 비추었다. 희화는 매일같이 태양 아들을 목욕시켜서 뜨거운 몸이 식은 다음 하늘로 오르도록 하였다. 빛을 조절하여 땅의 모든 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자연환경을 만들어 준 것이다. 한편 보천은 여와보천(女媧補天)의 줄임말로 여와가 하늘에 구멍 난 것을 메운 것을 이르는 말이다. 오랜 옛날, 물의 신과 불의 신이 큰 싸움을 벌였는데 물의 신이 지자 화가 나서 하늘을 받치고 있던 서쪽 산을 들이받았다. 그 순간 산과 하늘이 무너졌고 땅속에서 많은 물이 솟아올라 하늘까지 닿았다. 땅은 홍수로 인해 바다가 되었고 흑룡이 나타나 많은 사람을 죽거나 다치게 하였다. 고통에 빠진 사람들을 본 여와는 먼저 파란색·붉은색·흰색·검은색·노란색 등 다섯 종류의 돌을 녹여 하늘에 난 구멍을 메웠다. 그리고 큰 거북의 다리 넷을 잘라 하늘의 네 귀퉁이를 받쳐 세웠다. 사람들을 괴롭히던 흑룡을 잘 달래고, 둑을 쌓아 저수지처럼 물을 가두었다. 물이 줄어들자 짐승들은 점차 온순해져 사람들과 어울리게 되었다. 사람들은 곡식들이 열매를 맺어 풍족하게 먹을 수 있게 되자 여와의 은혜에 한없이 고마워하였다.
충렬사의 ‘맹산서해 욕일보천’은 추사 김정희의 제자 신헌이 52살(1861)에 삼도순군통제사로 있으면서 특유의 두툼한 필법으로 쓴 것을 흰색 바탕에 청색 글씨로 장식하였다. ‘맹산서해’는 충렬사 동재 주련 글귀를 줄여서 쓴 것이다.
‘수루’에 새겨진 한산도 달 밝은 밤에
제승당(制勝堂) 안쪽 기둥에도 ‘맹산서해 욕일보천’ 주련이 걸려있다. 제승당은 원래 이순신 장군이 머물던 운주당(運籌堂) 터다. 운주당이란 이순신이 가는 곳마다 기거하던 곳을 편의상 부르는 명칭이었는데, 1740년(영조 16) 통제사 조경(趙儆)이 이 옛터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우고 제승당이라 이름하면서 비롯되었다.1 운주당은 주판을 놓듯이 이리저리 궁리하고 작전을 세우는 집이란 뜻이고, 제승당은 적과 싸워 이긴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 제승당의 바깥 기둥에는 경충재2 주련과 같은 내용을 걸었다.
水國秋光暮 霜寒鴈陣高(수국추광모 상한안진고)
憂心輾轉夜 殘月照弓刀(우심전전야 잔월조궁도)
섬 많은 바다 가을빛 저물고 /
찬 서리 내리니 기러기 떼 높이 나네.
나라 걱정에 잠 못 드는데 /
새벽달이 활과 칼을 비추네.
- 이순신
경충재와 동시에 건립한 숭무당에는 다음과 같은 주련이 걸려있다.
江山不息英雄氣 天日成盟草木知
(강상불식영웅기 천일성맹초목지)
閣上麒麟圖像肅 鼓邊蝌蚪鐫名休
(각상기린도상숙 고면과두전명휴)
江漢悠悠忘千秋 欲慕風風
(강한유유망천추 욕모풍풍)
조선에는 훌륭한 사람의 성품 끊임없고 /
하늘에 맹서하노니 풀과 나무도 아는구나.
공신각에 그린 장군의 모습 엄숙하시고 /
북틀에 옛 글자로 새긴 이름 아름답구나.
장강과 한수는 유유히 천년 세월을 흐르고 /
공경하는 마음은 바람처럼 끊임이 없구나.
한산도 가까이 오는 왜적의 배를 감시하던 수루에는 ‘한산도 달 밝은 밤에’를 난중일기에 글자들을 찾아서 새겨 걸었다.
閑山島月明夜 上戍樓(한산도월명야 상수루)
撫大刀 深愁時(무대도 심수시)
何處 一聲姜賊更添愁(하처 일성강적경첨수)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
큰 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하는 적에
어디서 들려오는 피리 소리 남의 애를 끊나니.
- 이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