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이상한 학교]팬데믹 상황 속의 과정중심평가

④이상한 평가
확장된 교육 생태계 적극 활용
실시간 토론·댓글 달며 피드백

 

 

 

[송수연 경기 시흥 은행고 교사·정동완 경남 김해고 교사] 이상(異常)하고, 또 이상(理想)한 학교의 평가는 세 가지 특징 있다. 첫째, 평가관의 패러다임을 달리한다. 모든 학생들이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전제하고, 줄 세우기를 위한 평가가 아닌, 학생이 성취한 바를 판단하는 평가를 지향한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로 이뤄지며 셋째, 학생의 성장을 중시한다. 학습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학습을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를 중시하는 것이다. 
 

팬데믹은 ‘평가’에도 혼란을 줬다. 안전과 위생이 우선이었고, ‘당장 살아남기’라는 강력한 테제가 ‘미래의 삶을 위한 교육 평가’의 바람을 잠시 덮어버렸다. 그래서 평가가 다시 변했다. 앞으로? 아니 뒤로 갈 수밖에 없었다. 실시간 쌍방향 플랫폼의 불안정성, 시스템에 대한 불신,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의 괴리 등은 ‘과정중심평가’를 어렵게 했다. 지침은 유연화될 필요가 있었으나, 그 대응이 늦었다. 당장 내일 등교해야 하건만, 일요일에 갑자기 등교 중지조치가 내려질 때도 있었으니, 학교와 교사 입장에서는 질 좋은 평가 운영이 쉽지 않았다. 
 

지난해 대부분의 학교가 대면 수업 때 몰아서 시행한 ‘수행평가’가 그 증거다. 학생들은 몇 안 되는 등교일 내내 수행평가를 치렀다. 실시간 수업 중에는 지침상 가능했지만, ‘공정성’이 문제 돼 그러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원격수업으로는 학생의 수행 과정을 제대로 관찰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때문에, 많은 학교가 올해 ‘지필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강의식 수업량을 늘렸다. 활동 수업과 과정중심평가를 밀도 있게 시행하기 어렵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뒤로 가기’만 해서는 안 된다. 전염병의 현실을 핑계로 관습처럼 여겨왔던 근대식 교육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시대 역행적인 사고다. 대한민국 어딘가에 존재하는 이상(理想)한 학교는 이러한 절호의 찬스를 놓치지 않는다. 이상한 학교의 이상(理想)한 평가는 확장된 교육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을 활성화해, 학생들이 모둠 발표 자료를 함께 작업한다. 교사는 실시간으로 학생들의 활동을 직접 관찰하며 메모를 남겨 피드백을 전한다. 
 

퀴즐렛, 팅커벨 등 다양한 퀴즈 도구를 활용해 실시한 진단 평가를 바탕으로,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발달상황에 맞는 개별화 학습 과제를 제시한다. 클래스룸 과제함에는 학생들이 작성하고 제출한 과제들이 실시간으로 쌓이고, 교사는 시간 내 제출된 과제를 확인하고 첨삭과 피드백을 시행한다. 
 

수업 중 제시된 ‘전염병의 역사’,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약자 이야기’, ‘앞으로의 시대, 가장 필요한 과학 기술’, ‘백신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실생활에 밀착된 주제들의 자료를 읽고, 소회의실에서 모둠 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의 내용은 수업 후반 20분 동안, 온라인 논술 평가와 연계한다. 
 

교사가 제작한 수업 영상을 시청한 학생들은 실시간 댓글로 오늘의 배움을 직접 정리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댓글에 대한 대댓글을 달아주며, 각자의 공간에서 함께 공부한 오늘을 독려한다. 이처럼 이상한 평가는 온라인에서도, 오프라인에서도 학생의 삶과 배움, 그 성장을 응원하는 도구로서 기능한다.
 

코로나19는 모든 분야에 있어, 카프카적인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45분의 수업과 10분의 쉬는 시간, 9시 등교와 4시 하교와 같이 루틴화된 산업화 시대의 학교는 불안정한 이 시대와 맞지 않는다. 지식이 아닌 지혜가, 가르침이 아닌 배움이, 선발이 아닌 성장이 중요한 예측 불가의 시대라면, 이상(理想)한 학교를 이상(異常)하게 여길 것이 아니라 지향하고 따라야 할 롤모델로 여겨야 할 것이다. 다시 한번, 교육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