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터 넷티켓’(Hanter-netiquette)이란 핸드폰(handphone)과 인터넷(internet), 그리고 네트워크(network)상에서의 예절(etiquette)로 내가 만든 합성어이다. 즉, 핸드폰과 인터넷 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지켜야 할 예절을 말하는 것이다. 이제 ‘핸터넷’(핸드폰과 인터넷)의 사이버 공간은 공간 개념이 아니라 우리 생활의 새로운 일상적 세계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이버 공간이란 말 대신 ‘사이버 생활’이란 말을 사용했으면 한다. 사이버 생활 역시 현실 생활과 같은 태도와 행동과 언어를 규범과 예의에 맞게 사용하고 활용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겠다. 다만, 사이버 생활과 현실 생활의 차이점이 있다면 현실 생활에서는 상대방이 앞에 있고 실명성이 드러난 반면에, 사이버생활은 보이지 않은 상대와 익명성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우리나라는 세계를 이끄는 IT강국이다. 예부터 내려오는 동방예의지국으로서의 전통적 긍지와 자부심을 사이버 생활에서도 전승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이버 생활에서도 언제나 내 앞에, 또는 옆이나 뒤에 상대방이 있다고 생각하며 신중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핸터넷’ 상에서의 윤리와 예절은 사용
우리가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한반도'라는 용어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봤으면 한다. '반도'의 사전적 의미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땅이 돌출된 곳이다. 고흥 반도나 변산반도, 캘리포니아 반도 등이 그것이며 국가로는 이탈리아 반도, 한반도가 그것이다. 그러므로 사전적 의미로는 한반도라는 용어사용이 하등 문제될 것이 없다. 그러나 주권국가인 우리나라를 '한반도'라고 사용한 시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일제 강점기 때 일제가 우리 대한민국을 반도로 폄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부른 것에서부터 유래한다. 한일합방 전 조선 500년 동안 중국과의 외교에서도 조선이라 불렸지 한반도라 불린 저은 사료에 나타나 있지 않다. 분명 우리나라는 대한민국이라는 엄연한 국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물론 외교무대에서도 '한반도'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용어사용인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대한민국은 우리 헌법상에 명시도니 국호이니 남한만을 지칭한다 하더라도 남북한을 통틀어 인지돼온 '한국'이라는 합당한 말이 있지 않은가. 어찌해서 국제무대에서조차 한반도 정세, 한반도 통일문제라고 운운하는가. 일본이나 영국은 분명한 섬나라이지만 '우리 일본 섬나라는…', '우리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