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은 보편적이며 절대적인 인간의 권리 및 지위, 자격으로 규정된다. 최근 서이초 교사의 극단적 선택 이후, 계속해서 논의되는 인권 문제는 사실상 인간 존중 가치를 어떻게 조성할지에 대한 고민으로 나아가야 한다. 하지만 정치적 다툼으로 누가 더 많은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왜곡되는 현실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방향 재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선 과거 과도한 교권으로 생긴 우리 사회의 상처로 인해 현재의 과도한 학생 인권이 생겨나게 한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교권을 강화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시대에 맞지 않는 과도한 교권 강화로 이어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또 교사만 지지하는 교권이 아닌 보편적인 교권이어야 한다. 이는 정치적인 입장보다는 교사 스스로 제시해야 한다. 그래야 언론은 교사의 편에 설 것이고, 그것이 국민적 지지와 동의를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법제화가 됐다고 해서 교권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전체의 지지를 받아야 진정한 의미의 교권 확립이 가능하다. 학생‧학부모 인권 포용 노력으로 지지와 동의받는 교권 만들어야 두 번째로 인공지능 시대에 접어들면서 교육 자체가 변화해야 하는 시기임을 기억해야
AI 융합교육연구회에서 처음 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인공지능(AI)을 일상에서 활용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특히 교육 목적으로 개발된 AI가 거의 없었다. 교사들은 전 세계에서 제공되는 저렴한 비용의 AI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 보면서 AI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공부해야 했다.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AI를 잘 이해하고 친숙해지며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AI 융합 수업과 AI 프로젝트 수업 등을 진행했었다. AI에 의한 변화 불가피해 그러나 사실 이러한 수업을 진행하면서도 AI 기술이 교육 현장에 어떻게 접목될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교육에도 다양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은 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그 모습은 명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웠다. 그러던 중 올해 3월 챗GPT라는 대화형 AI가 대중에 공개됐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챗GPT를 기반으로 한 기술을 빙(Bing) 검색엔진에 적용했고, 구글도 자사의 ‘바드(Baadal)’라는 생성형 AI를 공개했다. 이런 발전으로 일상에서 AI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일반인들도 증가했다. 이제 누구나 AI에 질문하고 정보를 얻고, 지시를 내리고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시대가 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