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융합교육연구회에서 처음 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인공지능(AI)을 일상에서 활용하는 경우가 드물었다. 특히 교육 목적으로 개발된 AI가 거의 없었다. 교사들은 전 세계에서 제공되는 저렴한 비용의 AI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 보면서 AI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공부해야 했다. 그리고 우리 아이들이 AI를 잘 이해하고 친숙해지며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AI 융합 수업과 AI 프로젝트 수업 등을 진행했었다.
AI에 의한 변화 불가피해
그러나 사실 이러한 수업을 진행하면서도 AI 기술이 교육 현장에 어떻게 접목될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교육에도 다양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은 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그 모습은 명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웠다.
그러던 중 올해 3월 챗GPT라는 대화형 AI가 대중에 공개됐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챗GPT를 기반으로 한 기술을 빙(Bing) 검색엔진에 적용했고, 구글도 자사의 ‘바드(Baadal)’라는 생성형 AI를 공개했다. 이런 발전으로 일상에서 AI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일반인들도 증가했다. 이제 누구나 AI에 질문하고 정보를 얻고, 지시를 내리고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시대가 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우리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게 됐다.
최근 실제로 학생들이 챗GPT를 활용해 숙제와 과제를 해결하는 일들이 생겨나면서 대학을 비롯한 교육계에서는 두 가지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한쪽은 기존 방식을 유지해 학생 스스로 과제를 해결하도록 AI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AI 시대지만 인간 중심의 학습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교육의 본질이라고 말한다.
반면 AI를 이용해 학생들이 과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도록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AI를 활용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입장도 있다. AI를 활용한 과제 수행이 더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며 학생들의 지적 역량을 더 함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래인재양성에 자신감 가져야
AI는 사용하는 사람의 목적에 따라 다른 결과가 생긴다. 결국 AI 시대에는 그 어느 때 보다 훌륭한 미래 인재 양성이 중요해졌다. 그러므로 AI 자체의 규제도 중요하지만, 이것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두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AI는 이미 법을 공부하고 이해하기 때문에 우리는 아이들이 AI와 함께 법을 준수하고 AI를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초‧중‧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AI 윤리의식을 교육하고, 준수해야 할 법을 가르쳐야 한다.
둘째, AI가 교육 분야에 미치는 파장을 이해하고, 교육계 내에서 필요한 규제를 적극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뿐만 아니라 현장의 작은 의견들도 모두 모아 통합하여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우리는 지금 AI가 학교에 어떤 모습으로 존재할지 대략 알 수 있게 됐다. 우리 교사가 미래 인재 양성에 자신감을 가진다면, AI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서로를 성장하게 해주는 든든한 동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