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이야기> 뒤늦게 알게 된 선생님의 고마움
아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고 나서부터 변해가는 모습을 지켜보며 선생님의 힘이 얼마나 크고 공교육이 왜 살아나야 하는지 절감했다. 우리나라 대다수 엄마들처럼 나 역시 먹고 살기에 바쁜 그런 평범한 직장인이다 보니 아이 교육은 학원에만 의존하고 모든 성과는 학원 선생님께만 돌려왔다. 그러다 아들이 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기숙사에 들어갔고 기숙사에서는 학원을 다닐 시간이 여의치 않아 기숙사 선생님께서 관리하는 방식대로 스스로 하는 학습법을 택해 선생님의 지도에 따르게 됐다. 돈과 시간을 투자해 여러 학원을 다니면서도 중심을 못 잡던 아이가 이때부터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으면서 성적이 오르는 것을 느꼈다. 이유가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해봤다. 학원 선생님들은 바쁜 시간에 성적에만 급급하다가 보니 아이 개인의 성향을 파악해서 그 아이에게 적합한 교육을 하기가 어려운 반면에 학교 기숙사에 있으면서 그 곳을 관리하시는 선생님께서는 16년간을 기숙사만 전담하면서 아이들 성향을 꼼꼼히 파악하는 일부터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아이들의 눈빛을 보는 것만으로도 그 아이의 생각을 읽을 줄 아는 아버지와 같은 분이기에 각 아이들에게 맞는 기본 소양부터 가르치는 것 같았다. 평소 조용한 성격이
- 이정자 안동 경일고 학부모
- 2009-05-10 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