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대> 수월성 교육 왜 필요한가
먼 산을 보면 수풀만 보이지만 가까이 보면 큰 나무, 작은 나무, 그리고 활엽수, 상록수가 한데 어우러져 있다. 학생이 많지만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 능력과 적성이 각양각색이다. 이렇게 사람마다 다른 능력과 적성을 계발하여 신장시키는 것은 교육의 중요한 몫이다. 수학이나 과학, 그리고 예술교과 같이 선명하게 그 차이가 나는 영역은 더욱 그러하다. 그러한 측면에서 교육부의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은 퍽 의미가 있다. 2000년 OECD가 실시한 43개국 PISA결과는 수학이 2위, 과학이 1위이지만 상위 5%의 결과는 수학, 과학이 각각 6위, 5위였다. 상위학생들의 성적이 부진하다는 결론이다. 2003년 실시한 40개국 PISA의 결과는 수학, 과학이 3위, 4위인데 상위 5%는 3위, 2위였다. 2000년 보다 상위권 학생은 좀 나아진 편이다. 그러나 남녀의 성차가 너무 크게 나타났다. 인간의 창의력 에서도 수학, 과학 같은 이성적 창의력은 남학생이 앞서고 문학, 예술 같은 감성적 창의력은 여학생이 앞선다. 그러므로 여학생이 수학, 과학에 친숙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9개 대학을 중심으로 초·중·고 여학생의 과학창의력 향상을 위하여 실시되
- 정완호 전 한국교원대 총장·과교총 회장
- 2005-01-12 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