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8 (목)

  • 맑음동두천 -2.3℃
  • 맑음강릉 1.4℃
  • 서울 -1.0℃
  • 구름많음대전 0.1℃
  • 맑음대구 2.6℃
  • 맑음울산 4.8℃
  • 광주 3.9℃
  • 맑음부산 5.1℃
  • 흐림고창 3.2℃
  • 제주 8.9℃
  • 구름많음강화 -2.4℃
  • 흐림보은 0.6℃
  • 구름많음금산 2.4℃
  • 구름많음강진군 6.1℃
  • 맑음경주시 4.6℃
  • 구름조금거제 5.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인터뷰

“진실을 가르치는 교육이 먼저다”

손명원 민화협 대표상임의장 인터뷰

청소년의 통일 인식 역대 최저
통일교육의 방향 재정립 목소리
“통일 정의부터 다시 내려야…
남북 함께 교육할 때 효과 있어
통일 논의 플랫폼 역할 할 것”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 중에서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절반도 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부가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교육부와 함께 전국 초·중고생 7만3991명을 대상으로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은 49.8%였다.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학생도 38.9%로 역대 최고치였다. 학교 통일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재정립해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하 민화협)은 분단 이후 민족 화해와 통일 준비를 위해 1998년 9월 3일 출범했다. 우리 사회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정당, 종교,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협의체로, 세대, 이념, 지역 등을 넘어 통일 문제에 대한 국민 소통의 장(場) 역할을 하고 있다.

 

18일 민화협 사무실에서 만난 손명원 대표상임의장은 “‘통일’에 대한 정의부터 다시 내려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4월 제11대 대표상임의장으로 취임한 그는 미국 오클라호마대와 가톨릭대 대학원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하고 현대건설 이사, 현대중공업 부사장을 거쳐 현대미포조선 대표이사, 쌍용자동차·㈜쌍용 대표이사를 지냈다. 독립운동가 손정도 목사의 손자이자, 대한민국 해군 창설의 주역인 손원일 제독의 아들이기도 하다.

 

Q. 지난해 민화협이 창립 25주년을 맞았다.

 

“한반도 상황, 우리 사회의 변화에 발맞춰 지난해 민화협의 비전을 새롭게 만드는 데 집중했다. 민화협이 남북 화해를 목표로 태어났다면, 이제는 전 세계에 나가 있는 우리 민족이 ‘화합’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슬로건도 ‘민족화해를 넘어 민족화합으로!’라고 정했다.”

 

Q. 남북 관계 경색이 장기화하고 있다. 활동에 제약이 있을 듯하다.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라는 정치 체제 차이에서 오는, 어쩌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생각이다. 화해는 상대방과 대화하고 교류하면서 신뢰가 쌓일 때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남과 북은 사실상 대화가 없는 암담한 현실에 있다. 현재 상황을 냉정하게 받아들이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고민했다. 바로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우리 민족이 화합하고 성장하는 것이다. 북에 있는 우리 민족도 궁극적으로는 세계 속 한민족의 하나로 함께하며 서로 이해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으리라 본다.”

 

Q.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 인식이 약화하고 있다. 특히 청년 세대, 그리고 아래 세대로 내려갈수록 그렇다. 어떻게 생각하나.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라는 두 체제가 존립하는 한, 남북이 통일해 하나가 된다는 것은 굉장히 힘들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통일의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할 때다. 국내외 시장에서 경제 협력 사업을 하고, 서로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수준까지를 통일이라고 생각한다면, 불신의 문턱이 낮아지지 않을까. 변화된 사회상에 맞춰 통일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그 과정에서 범국민적 합의와 지지가 필요할 것이다.”

 

Q. ‘하나의 민족’이라는 담론 자체가 젊은 세대에게는 와닿지 않는 것 같다.

 

“우리 민족이 하나의 핏줄이라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인간 사이에는 의견 충돌이 있을 수 있고 생각하는 바가 다르면 대화가 이뤄질 수 없다. 젊은 세대는 현실을 직시하고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또 정치 리더들의 생각 차이를 접하면서 통일이 어렵다는 것을 피부로 느낀 게 아닌가 생각해 본다. 정치, 경제 체제와 통일은 바늘과 실 같은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Q.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현주소는 어떤가.

 

“교과서에서 가르치는 이론과 실제 경험하는 것이 같을 때 교육 효율이 높아진다. 1+1=2라고 배운 것을 학생이 사과 한 개와 한 개를 더했더니 두 개가 됐다는 걸 확인했을 때, 교육이 힘을 얻는다. 그런데 1+1=4라고 가르쳤다면? 학생으로부터 버림받는 교육이 될 것이다. 진실을 가르치는 교육이 먼저다.”

 

Q. 일회성 계기 교육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통일교육,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할까.

 

“박수 소리는 두 손이 부딪혔을 때 난다. 통일은 통일해야 하는 대상이 있다. 남북에서 함께 교육이 이뤄질 때 효과가 있지 않을까. 통일은 상상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통일교육은 ‘논픽션’이라야 한다. ‘픽션’이 아니다. ”

 

Q. 앞으로 민화협의 역할도 중요할 것 같다.

 

“민화협 해외협의회 중 하나인 프랑스협의회는 청년위원회가 중심이 돼 사업을 꾸려나간다. 지난해 11월 방문했을 때 학생들이 ‘시민평화포럼’을 이끌어 가는 모습을 봤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내 인문 석학들을 초청해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그 속에서 남과 북의 접점을 찾으려는 논의가 오갔다. 국내에서도 통일 연구학자들의 발표와 세계에 퍼진 우리 민족들이 모여 우리의 통일에 대해 토의하는 모습을 보고 싶다. 민화협이 독일, 프랑스, 중국, 미국, 일본 등 협의회를 통해 주요한 플랫폼 역할을 하고 싶다.”

 

Q. 교사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이야기하고 싶다. 대학교 4학년 때 학교 레슬링 대표 선수였다. 나보다 실력이 뛰어난 선수와 시합이 있었는데, 시합 종료 1분쯤 남겨놓고 기운이 빠져 팔, 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었다. 바닥에서 헤매고 끌려다니는 저를 향해 코치 선생님이 ‘명원아! 일어나! 일어나란 말이야!’ 체육관이 떠나가라 소리 질렀다. 회복 불가능한 상태였다. 그런데 어디서 그런 힘이 나왔는지, 자리를 떨치고 일어났다. 선생님은 늘 진실을 가르쳐 주셨다. 그런 선생님의 한마디는 힘이 빠져 방황하는 학생을 일으키는 힘이 됐다. 학생들에게 그런 선생님이 돼주시길 간절히 바란다.”

 

---------------------------------------------------------------

 

▶민화협 후원 계좌: 우리은행 1005-603-788735 (사)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기후원 문의: 민화협 사무처 02-761-1213

 

※민화협은 연말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하는 단체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