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0.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대한민국 엘리트들의 평생 학습능력 계발의 필요성

우리의 초중고 교육시스템은 최종 12년 공부의 결과를 한 순간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이다. 바로 단 한 번의 수학능력시험(수능)의 상대평가를 통한 줄 세우기다. 문제는 이것이 차후 평생의 성패를 결정짓고 학벌체제를 부추기는 강력한 시험능력주의의 실행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은 일생에 걸쳐서 개인적 특성과 환경에 의해 발달과 성장이 천차만별이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단 한 차례 수능에 의한 ‘학습능력’이 평생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종국적으로 인간의 학습능력과 무한한 잠재력을 잠재우는 것은 인류 발전에 크게 역행한다.

 

우리 사회는 한때 공부의 달인, 공부의 신이라 일컫는 엘리트들이 젊어서의 한 순간을 넘어서면서 학습능력이 정체되거나 퇴보하여 의당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심지어는 역주행을 하는 경우를 흔히 목격한다. 이는 지식정보 사회에서 지속해야 할 평생학습에 대한 의무를 등한시 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의 부작용과 후유증이 사회 곳곳에 미치는 악영향이다. 왜냐면 학벌에 기초한 과도한 평가가 후에 부적격 상태나 무지(無知)의 상태로 공동체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특히나 공인으로서 막중한 책임을 가지고 능력을 발휘해야 할 위치에서 정작 기댓값에 못 미쳐 큰 파장을 일으키는 허(虛)와 실(失)이 지대하다.

 

현대는 무한 지식정보의 시대다. 미래학자 버크 민스터 플러는 인류의 지식 총량은 100년 마다 두 배씩 증가되었는데, 1900년부터는 25년 마다 두 배씩 증가하고, 현재는 13개월마다 두 배씩 증가하며, 2030년대에는 3일 마다 두 배씩 증가할 것이라는 ‘지식 두 배 증가 곡선(Knowledge Doubling Curve)’ 이론을 주장했다. 이는 이미 현실적으로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오는 지식 총량은 감당하기 불가하다. 이 말은 결국 평생 지속적으로 학습능력을 쌓지 않으면 사회에서 후퇴하거나 도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수능(또는 학력고사, 예비고사) 체제가 배출한 인재들이 학창시절의 암기와, 주입식 공부에 의한 탁월한 시험 결과에만 머물러 이러한 사회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지나치게 과거 한 순간의 학습능력을 과신하거나 그로 인한 학벌체제에 대한 맹신으로 더 이상의 학습에 게으르거나 과거의 지식으로 완고하게 버티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사회는 소위 엘리트들이 막강한 카르텔을 형성하여 그들의 기득권과 이권을 강력히 사수하기 때문이다. 이는 자기 조직에만 충성하면서 타 집단과의 대화나 소통, 관계 형성을 아예 무시하는 오만과 방종, 이기적 행태로 나타난다.

 

우리 사회 곳곳에서 변함없이 드러나는 권력에의 맹종과 법 기술의 적용, 기득권의 수호에 따른 집단이기심 등은 지속적인 학습 없이도 집단의 권력에 의해 어느 정도 지속가능하다. 상호 간의 학연(學聯), 지연(地聯), 인맥(人脈)으로 이를 충분히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꼬리가 길면 정체가 드러나기 마련이라는 세상의 통념처럼 현재 우리가 목격하는 권력층의 서로 감싸기는 무능, 무도, 무책임을 낳고 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기대하는 만큼 실력이 없으면서도 자리를 지키거나 세상의 민심을 읽지 못하고 그저 땜질식으로 잠재우기 일쑤다. 따라서 더 이상 공부를 하지 않아 학습능력이 멈춘 엘리트들은 냉엄한 비판을 면할 수 없다.

 

책임 있는 지식인은 평생 공부를 멈출 수 없다. 또한 누구보다도 앞서 ‘배워서 남 주자’는 이타적인 철학의 정립이 요구된다. 전통적으로 세계의 명문대학들은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간 육성’을 교육비전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처럼 세상을 보다 좋은 곳(better place)으로 만들기 위한 지식인의 학습은 중단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식 두 배 증가 곡선’이 보여주듯이 이 세상은 끊임없는 학습능력의 배가를 요구한다. 이에 역행하는 경우는 지식인이자 공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방기하는 것이다. 무지한 한 개인이나 특정 집단으로 인해 사회, 국가, 인류공동체에 위해(危害)하거나 문명이 퇴보하는 행위는 불행하다. 부디 우리 사회의 엘리트들이 한 순간의 성취에 대한 학습능력을 확고히 인정받으려면 끊임없이 시대가 요구하는 학습능력 계발은 물론 이타적 존재가 되어 국가의 성장과 발전, 나아가 인류 문명에 기여하는 인재가 되어야 한다. 이는 선택이 아닌 시대의 필수임을 자각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