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를 프랑스어로 출간한 그라쎄(Grasset) 출판사는 작가와의 만남 행사를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 기숙사 강당에서 가졌다. 필자가 프랑스한국교육원장 겸 한국관 관장으로 재임하던 시절로, 당시 한국문화원 대관이 어려워 한국관에서 진행했다. 행사 후 작가의 친필 사인을 받고 함께 기념사진도 찍었다. 최근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니 당시 사인본과 사진은 굉장한 부러움을 사게 됐다.
한국학과 승격 유럽대학 늘어
유럽이 한국문학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은 꽤 오래됐다. 프랑스에서는 파리시테대와 INALCO(국립동양언어문화대)에서만 운영되던 한국학과가 2024년 남프랑스 보르도몽테뉴대와 엑스-마르세유대에서도 종합학과로 승격됐다. 한국 웹툰을 번역하는 일이 이들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생들에게 꽤 괜찮은 아르바이트라는 얘기도 들린다.
엑스-마르세유대학 한국학과장으로 퇴직한 장끌로드 드크레센조 교수는 15년째 한국문학 웹진 ‘글마당(Keulmadang)’을 발행하고 있다. 매달 한국 문학가와 작품을 소개하고 인터뷰 기사를 낸다. 젊은 작가의 번역본을 출간하는 일도 한다. 본인 이름 ‘장끌로드’를 ‘장길도’라고 지어 부를 만큼 한국에 대한 애정이 깊다. 남편에 이어 한국학과장을 맡고 있는 김혜경 교수도 한국학 확대와 한국문학을 소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한강 작가 인터뷰는 글마당 2016년 3월호에 실려있다.
프랑스 파리 동쪽의 에밀리뒤샤틀레고의 한국어 수업을 참관한 적이 있다. 담당 교사는 한국 동네 슈퍼마켓에서 나눠주는 전단지를 30장씩 챙겨 학생들에게 나눠주고, 장 보는 수업을 진행했다. 학생들은 손님과 점원으로 역할을 나눠, 전단지를 펴고 수박 격과 참외 그림, 묶음 할인 상품 사이에서 한국 문화를 접한다. 이는 실생활 자료를 중심으로 문화를 접하게 하는 프랑스 언어교육 정책에 따른 것이다. 이 학교의 한국어 교사는 모국에 방문할 때마다 한국 학용품과 전단지를 포함해 여러 실생활 물품들을 한 짐 가득 꾸린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프랑스 초·중·고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교는 2018년 17개교에서 2024년 60개교로 늘었다. 교민이 많은 영국, 독일, 벨기에를 중심으로 핀란드와 노르웨이에서도 한국어 채택교가 생겼고, 점차 다른 나라로 확산 중이다. 한국 정부도 힘을 보태고 있다. 초·중등교의 한국어 보급은 교육부, 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은 재외동포청, 고등교육기관은 문체부의 세종학당과 외교부의 한국국제교류재단이 담당하는 식이다.
정부의 체계적 지원 계속돼야
노벨문학상 수상은 훌륭한 작가를 키워내는 것 외에도 외국에서 한국을 알리기 위한 많은 이들의 노력도 한몫했다. 해외 각 나라의 ‘장길도’ 교수와 ‘전단지’ 교사들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기관별로 분절적인 지원 사업을 벌인다는 지적들과 현지 특성에 맞게 개별화된 지원도 아쉽다.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더해진다면, 노벨상 이후 문화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길고 굳건하게 누려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