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용기있는 큰 걸음 '
'퍼스트 펭귄' 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가장 먼저 도전해 다른 이들의 참여를 끌어내는 도전자를 뜻하는 말이다. 남극에 사는 펭귄 무리의 생활 습성에서 만들어졌다. 펭귄 무리는 포식자들이 도사리고 있는 바다에 뛰어들기 전, 종종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바다에 가장 먼저 뛰어드는 펭귄이 있으면 곧이어 다른 펭귄들도 바다에 뛰어든다. 미국 카네기멜론대의 전 컴퓨터공학과 교수 랜디 포시의 '마지막 강의'라는 저서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새로운 일을 처음 하는 것을 우리는 보통 '선구자'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퍼스트 펭귄'과 같은 말이다. 한 사람의 작지만 용기있는 첫 발걸음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용기를 준다. 초등학교 체육수업을 유튜브를 통해 공유하며 노력하는 '퍼스트 펭귄'과 같은 교사가 바로 내 주변에 있다. 서울위례초등학교 성기백 선생님이다.
초등교사가 유명 유튜버가 된다는 것! 사실 흔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혀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코로나로 인해 난생 처음 학교가 문을 닫았을 때, 우리는 온라인 수업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포맷을 경험했다. 사실 코로나가 학교현장에서의 에듀테크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당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원격수업에서 가장 힘들었던 과목이 바로 '체육'이었다. 신체활동이 주를 이루는 체육교과를 온라인으로 가르친다는 것이 과연 가능할지 몹시나 불확실한 시기였다.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 것이 그의 채널이었다. 처음에는 어떻게든 체육수업 40분을 채울려고만 고심하며 온라인 컨텐츠를 업로드하기 바빴다. 하지만 조금만 자세히 영상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그 영상에서의 내용이 실제 체육시간에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활동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그리고 컨텐츠 자체의 시간은 4~5분으로 짧지만, 그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 제작자는 너무나 오랜시간 심혈을 기울였다는 사실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열정기백쌤과의 첫 만남
이미 성기백 선생님이 유명한 체육수업 유튜버라는 사실은 대다수 교사들이 알고 있다. 필자도 예외는 아니었다. 5~6년 전 체육수업을 준비할 때, 그의 영상을 보면서 공부했기 때문이다. 채널의 영상은 교사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 자체의 퀄리티도 훌륭했다. 3~4분 내외의 짧은 영상이지만 해당 주제에 대한 설명이 간략한 그림과 함께 명쾌하게 소개되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2025년 3월의 어느 점심시간, 식당에서 그를 처음 마주했다. 멀리서도 눈에 띄이는 큰 키에 카랑카랑한 목소리를 가졌다. 그가 내 앞자리의 선생님께 다가와 본인과 함께 할 업무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우연히 듣게 되었다. 그는 미소를 띤 얼굴과 부드러운 목소리로 체육 관련 업무의 강도를 '순한 맛', '중간 맛' , '매운 맛'으로 설명하면서 해당 계원 선생님께 유머러스하게 함께 업무를 도와줄 것을 부탁했다. 자칫 무거워질수도 있는 업무 협조 요청이 갑자기 편안해져 버렸다. 이때부터 그와 그가 운영하는 채널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정확히 말하면, 그의 열정에 대한 호기심일 것이다.
유튜브 채널 '열정기백쌤' 디테일 톺아보기
'열정기백쌤'으로 검색을 하면 '초등체육 활성화를 위해 학생들과 함께 한 활동을 영상으로 만들었다'는 안내와 함께 해당 채널을 볼 수 있다.(https://www.youtube.com/@passionkibaek) 덩크슛을 하는 모습의 프로필이 눈에 띄인다. 프로필만 보아도 열정과 기백이 느껴진다. '열정'에 '기백'까지 더해졌으니 얼마나 정열적이고 에너지가 넘칠까? 메인화면만 보아도 온간 활력이 용솟음치는 것을 느낀다. 거침없는 그의 성품을 예측해 본다. 해당 채널의 메인 화면에 2025년 현재 구독자는 3.87만명, 동영상은 600여개가 넘는 것으로 나온다.
"10여년 전, 이 채널을 처음 운영하기 시작했고, 초등교육의 전반적인 분야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체육활동의 활성화에만 집중한다"는 그의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덧붙여 그는 "초등교사 40명 중 2명만이라도 이 채널을 이용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구독자 수나 조회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결국은 '초등체육의 활성화'가 반드시 이루어졌으면 한다는 의미이다. 그의 명확한 목표의식이 느껴졌다.
호기심에 조금 더 자세히 채널을 둘러보았다. 눈에 띄이는 썸네일들이 있었다. 인상 깊었던 썸네일은 '금쪽같은 내 체육' 시리즈였다. 체육수업을 하면서 생길 수 있는 교사들의 고민에 대한 나름대로의 처방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초등교사라면 누구나 한번 쯤은 고민했었던 문제들이다. 나름대로의 명확한 해법을 제안해 준다. 그의 말을 듣다 보면 공감의 박수가 나도 모르게 여러차례 터져 나온다. 특히 초등학교 체육을 '낭만체육'으로 소개하며 '상처받는 학생들 없이 모두가 긍정적인 마음을 가질 것'을 제안하는 멘트가 인상깊다.
실제 체육활동에 대한 썸네일도 볼 수 있었다. 클릭하여 영상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먼저, 게임활동에 대한 설명을 간단한 피피티로 제작, 영상으로 만들었고 교사들이 주의해야 할 점, 운영 팁 등을 제시해준 것이 보였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초등학교 1~2학년, 3~4학년, 5~6학년의 수준별로 나누어서 활동할 수 있도록 부가 설명해 둔 것이다. 예를 들어 점보 스택스를 활용한 이어달리기를 할 때, 1~2학년은 콘을 5개, 3~4학년은 7개, 5~6학년은 9~10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 것처럼 말이다. 실제로 운영해본 경험이 없이는 절대 제안할 수 없는 팁이다. 이렇게 그는 선생님들을 진심으로 배려한다.
오프라인과 함께 지속적으로 체육활동 활성화에 힘쓰다
이런 채널을 기반으로 그는 오프라인으로도 체육활동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티처런'이라는 공동체 모임이다. '티처런'은 서울, 경기권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교사학습공동체이다. 성기백 선생님은 '티처런'은 'Teacher Learn & Run'이라는 뜻으로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워크숍을 통해 '직접 몸으로 체육을 체험하며 배우고 성찰하고 함께 실천하는 모임' 이라고 말해 주었다. 저녁 6시에서 9시까지 이루어지는 이 모임이 바로 이번달(2025년 3월)에도 서울위례초등학교에서 이루어졌다. 학교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4월에는 PAPS 측정 주간이 계획되어 있다. 티처런에서의 3월 모임 주제는 PAPS라고 했다. 이렇게 교사들에게 시기별로 가장 필요한 주제를 적절히 선정하여 연수를 운영한다.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필자는 이 모임에 슬쩍 참여해보았다. 학기초, 바쁜 시기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사들이 늦은 시간까지 함께 했다. 그만큼 초등학교에서 체육수업은 교사들에게는 쉽지 않은 과제이다. 그리고 그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채널이다.
초등교사는 바쁘다. 매일, 아니 연중쉼없이 바쁘다. 할 일이 너무 많다. 수업 준비에, 각종 연수 수강에, 학교 업무에 정말 눈코뜰새 없이 생활한다. 그토록 바쁜 와중에도 이렇게 채널을 운영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는 기획, 촬영, 편집, 피드백까지 본인이 직접 작업한다고 했다. 4분짜리 영상을 하나 만드는데 거의 6시간 이상이 소요된다고 했다. 하지만 그가 운영하는 채널의 컨텐츠는 여전히 업로드 되고 있다. 거기에 더하여 그는 오프라인 연수까지 주관하고 있다. 심지어 주말까지도.
'퍼스트 펭귄'은 첫걸음으로 그 무리를 이끌지만, 열정기백쌤은 첫걸음과 함께 그 이후에도 초등체육의 활성화를 위해 꾸준히, 그리고 열정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단언컨데, 그는 퍼스트 펭귄보다 더 힘든 일을 쉼없이 하고있다. 오늘도 그는 교내 메신저로 '비오고 미세먼지 많을 때, 교실에서 할 수 있는 박스농구 키트 안내' 라는 체육수업 팁을 선생님들께 발송했다. 그가 꿈꾸는 '초등학교 체육 활성화'라는 목표가 조금씩 이루어져가고 있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