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0.5℃
  • 구름많음강릉 4.9℃
  • 서울 2.4℃
  • 구름많음대전 2.3℃
  • 흐림대구 6.0℃
  • 구름많음울산 6.2℃
  • 흐림광주 5.8℃
  • 맑음부산 6.8℃
  • 흐림고창 6.5℃
  • 흐림제주 10.8℃
  • 구름많음강화 1.1℃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4.1℃
  • 구름많음강진군 8.5℃
  • 구름조금경주시 5.7℃
  • 구름조금거제 7.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한국 교육열, 민족성이 저력"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교육이 성공하는 것은 교육제도 자체가 우수해서라기보다 특유의 민족성이 저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17일 평가했다.

신문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지난 달 12일 발표한 회원국 교육지표 분석을 인용해 동북아의 교육붐이 돋보인다면서 특히 한국의 경우 두 세대 전만해도 OECD 기준으로 교육이 최하위 수준이던 것이 오늘날 눈부신 도약을 했다고 지적했다.

한 예로 25-34세의 고교 교육 이수율이 97%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상기시켰다.

신문은 "교육이 21세기 경제의 '검은 황금'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IT 지출과 사교육 열정 등 '학교 외적' 변수들이 교육 환경을 높이는 데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그러나 선진교육 제도가 다른 나라에 그대로 접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면서 핀란드의 경우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고 문화적 동질성이 높은 것이 '세계 최고'로 평가되는 교육 시스템을 구축토록 한 원동력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한국은 교육 개혁에 권위적으로 접근하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아시아 이민 1세대의 경우 '공부를 잘해야 사회에서 성공한다'는 강박감이 컸으나 2세대는 꼭 그렇지 않다"면서 따라서 앞으로는 아시아계도 학업을 중도에서 포기하는 등 이런 면에서의 '서양화' 현상이 나타나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문은 끝으로 "일본과 중국이 교육 제도가 훌륭해서 성공했다기보다는 그들이 중국인이거나 일본인, 혹은 한국인이기 때문에 오늘의 교육적 업적을 일궈낸 것으로 봐야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