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를 찾아 퇴임식(사진)을 가진 후 직원들과 마지막 인사를 나눴다고 밝혔다. 사임 표명 이후 이날 이재명 대통령의 재가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퇴임식에서 그는 “5년 단임제 정부에서 임기 내에 많은 일을 해내기 힘든데 하물며 3년여 동안 변화를 일궈 내기란 쉽지 않았다”며 “저출생, 지역소멸, 디지털 대전환의 위기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과감한 교육혁신의 필요성을 공감했고,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매사에 임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했던 그는 윤석열 정부에서 다시 한번 교육부 장관으로 발탁돼 2022년 11월 7일 취임한 바 있다. 이후 지난 2년 9개월 동안 유보통합, 늘봄학교,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지역혁신중심대학지원체계(RISE), 글로컬대학 사업, 의대 정원 증원 등 정책을 추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의 사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의가 이어지면서 국무위원 서열에 따라 지난 5월 2일부터 6월 4일까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기도 했다.
그는 “이념이나 정파와 무관하게 우리 아이들과 국가의 미래를 위해 시급한 교육개혁 과제들을 추진하려 노력했다”면서 “특히 정부 교체나 정치 상황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도 교육정책이 자생적인 혁신 역량을 갖추고 지속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소회했다.
한 달여간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에 대해서는 “비상 상황 속에서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돌아봤다.
다만 서이초 교사 사태 등을 겪으면서 교권 회복 관련 정책 추진에 대한 소감은 남기지 않았다.
그는 이제 다시 대학으로 돌아가 연구와 차세대 인재 양성에 전념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주호의 퇴장으로 이제 교육부 장관은 공석이 됐다. 차기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발표되지 않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을 첫 교육부 장관 후보로 지명했으나, 자질 부족 등 논란 속 여론 악화에 지명을 철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