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중순 이곳 피츠버그의 초등학교 2학년에 다니는 딸아이의 현장학습에 학부모도우미로 동행하게 되었다. 미국의 현장학습 모습이 궁금하기도 하고, 아이를 셋이나 길렀지만 교직에 있는 관계로 학부모가 되어 아이의 현장학습을 따라가 본 적이 없어서 함께 하겠다고 표시하여 제출했다.
교사가 아닌 학부모로서 더구나 미국에서 현장학습에 따라간다고 하니 아이처럼 마음이 설레었다. 현장학습일 아침 아이와 함께 등교하였다. 담임선생님은 부모의 허락을 받지 못한 아이를 다른 반에 맡기 위해 유인물, 현장학습 준비 등으로 무척 바빴다. 현장학습날 담임이 바쁜 것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차이가 없어 보였지만, 수학교담교사와 특수보조교사가가 현장학습도우미 교사로 도와주고 있어서 조금은 부러웠다.
현장학습과정에서 크게 눈에 띈 것은 안전수칙 교육과 아이들의 기초질서 지키기, 점심 등이다. 교실을 나서기 전에 현장학습동안에 지켜야할 안전수칙과 행동수칙에 대해 묻고 답함으로써 아이들이 이를 기억하여 안전하고 바른 행동을 하도록 배려하였다. 이를 ‘수칙환기(revisit)’라고 하는데 교실을 나서서 이동할 때에는 꼭 거치는 과정이라고 한다. 문을 통과할 때에는 출입문 도우미로 지정받은 학생 한 명이 모든 아이들이 다 지나갈 때까지 문을 잡고 있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길거리와 현장학습지 내에서의 이동시에는 선두에 담임교사가 중간과 끝에 나머지 보조교사와 도우미가 아이들의 이동을 도왔다. 목적지인 어린이 박물관에서도 직원이 나와 관람 안내 수칙에 대해 묻고 대답하는 수칙 환기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이 자유롭게 행동하는 것 같았지만 항상 줄을 서서 자신의 순서를 기다리고, 규칙에 맞게 행동하는 것을 보며 우리도 학교와 가정 그리고 사회에서 기초생활훈련을 더 강화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다.
점심식사는 특히 인상적이었다. 도시락을 싸온 아이 모두가 화려한 도시락 통이 아닌 비닐봉지나 종이봉지에 간단하게 싸가지고 왔고, 학교급식을 먹는 아동들의 점심도 역시 작은 종이 봉지에 담겨져 있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싸온 점심 때문에 아이들이 행동에 제약을 받지 않게 하려고 한 것이라고 했다.
학교에서 제공한 점심은 교사나 아동 모두 똑같은 메뉴로 땅콩 잼과 젤리를 잔득 바른 빵 조각 하나와 사과 한 개 그리고 118ml의 사과쥬스, 비닐봉지에 들어 있는 일회용포크, 휴지, 빨대가 전부였다. 집에서 도시락을 가져온 아이들의 점심도 피자조각이나 샌드위치,빵, 음료수, 과자류들이 주를 이루었다. 우리나라 일부 현장학습의 화려한 도시락을 연상한 나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현장학습날 교사의 식사 한 끼 때문에 학부모와 교사가 서로 마음이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이곳처럼 비록 단출한 식사라도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교사의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아니면 아예 담임이 준비하도록 명시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