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학교급식은 법률과 국가 기준 등에 의해 1일당 식품구성 모델이 정해져 있다. 이런 가운데 동경도 아다치구가 국가가 정하는 기준에서 벗어나 2008년부터 독자 기준을 세울 방침임을 밝혔다. 문부과학성은 ‘기준을 따르지 않는 것은 유감’이라며 난색을 표하고 있으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반 양상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문부과학성은 학교급식 실시기준에서 아동․학생 1인이 1회 식사에서 섭취해야 할 열량과 칼슘 등의 영양소 필요량을 정하고 있는 것 외에, 그 영양소를 어떤 식품을 통해서 섭취해야 하는지의 기준을 표준식품구성표로 명시하고 있다. 8~9세 아동의 경우, 1회 식사에서 우유 206그램, 쌀 48그램, 밀가루 23그램, 콩제품 20그램, 어패류 16그램, 뼈째 먹는 생선류 3그램 등 25개 식품에 대한 섭취량을 기재하고 있다. 특히 우유는 학교급식법 실시규칙에서 ‘밀크(우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급식으로 정의하고 있어 “우유가 없는 식단은 인정하지 않는다”(학교건강교육과)라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아다치구에서는 올해 중에 구내 6개 초․중학교를 시범학교로 지정하여 내년 4월부터 1년간 국가의 기준에 구애받지 않는 독자 메뉴 급식을 제공할 방침을 세운 것이다. 남기는 음식물의 양을 조사하거나 아이들과 보호자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기도 해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구(區) 독자의 식품구성표를 만든다는 생각이다.
아다치구에서 독자 급식을 생각하게 된 계기는 작년 구내에 있는 전 109개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다치구에서는 연간 30만 3122 팩의 우유가 폐기되는 것 외에 약 636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나오고 있었다. 아다치구는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에 대해 급식 식단 작성을 담당하고 있는 영양사로부터 이야기를 듣는 등 원인을 조사해 본 결과, 국가가 정한 기준에 구애되다 보니 숫자 맞추기에 급급하는 현상이 표면에 드러나게 된 것임을 파악해 내었다.
국가 기준에 따르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우유는 주 3회 있는, 밥이 메인이 되는 급식에서도 함께 내지 않으면 안 된다. “우유 대신에 따뜻한 된장국을 곁들이고 칼슘은 작은 생선이나 치즈 등으로 섭취할 수 없을까”, “아이들이 싫어하는 콩의 양을 반으로 줄여 곡물이나 두부로 보충할 수 없을까”하는 생각을 갖고 있는 담당자는 “일부러 각 학교에 영양사가 있는데도 항목과 수치가 너무 구체적이어서 솜씨를 부릴 방법이 없다며 자유로운 발상으로 아이들이 좋아하는 식단을 만들고 싶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아다치구만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도 나오기 시작했다. 동경도 무사시노시에서는 2년 전부터 독자 식품구성표 작성을 시험적으로 개시하였고, 북 큐슈시에서도 보육원 1원이 작년 10월부터 반대하는 시를 설득시켜 독자 메뉴로 전환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서 문부과학성은 “급식에는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편식을 없애거나 올바른 식문화를 전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우유를 없애는 것은 당치도 않을뿐더러 그 밖의 식품에 대해서도 아이들이 먹지 않는다고 하여 구성을 크게 바꾸는 것은 유감”이라며 독자적 식단 구성에 대한 반대의 의견을 강조하고 있다. 작년 10월에 2개 중학교에서 우유를 뺀 급식을 시작했다가 문부과학성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도를 받고나서 결국 우유를 넣는 급식으로 방침을 변경한 바 있다.
독자 급식으로의 방향 전환을 주장하는 지역과 문부과학성이 제시하는 의견이 어느 쪽도 틀린 것은 아닌 것 같다. 사실 학교 급식을 대하다 보면 명쾌한 해답을 찾기가 어려울 때가 많다. 아이들의 입맛에 맞는 경우는 그래도 잔반이 적은데 비해 입맛에 맞지 않다 싶을 때는 상당량이 남게 된다. 그렇다고 억지로 먹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食育’이 전에 없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국가 기준 식단이든 지역 독자 식단이든 ‘올바른 식문화 형성’이라는 궁극적인 목표가 같다는 전제하에서라면 어느 정도 융통성을 발휘하는 것도 그다지 나쁠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