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신입생 2천5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입생 특성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졸업 후 원하는 직장 형태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22.1%가 의사나 공인회계사, 교사, 예술가 등 전문직을 선택했다.
다음으로는 21.8%가 연구소 및 대학을 골랐으며 국가기관(15.5%), 대기업ㆍ국영업체(12.4%), 법조계(6.9%), 금융계(5.1%) 등이 뒤를 이었다. 사교육 경험을 묻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에 대해 `경험이 없다'는 응답자는 29.0%에 불과했으며 48.5%가 학원 수강을 한 경험이 있었고 41.1%가 개인 과외, 22.6%가 그룹 과외, 0.7%가 입주 과외를 각각 받았다고 답했다.
또 이들 사교육에 대해 68.6%가 학업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신입생의 94.7%가 인간 관계가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30%는 낯선 사람과 쉽게 친해지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어렵다는 응답자도 21.0%에 이르렀다.
서울대 진학을 선택하는 데 가장 영향을 준 사람에 대해서는 본인(46.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가족이나 친척(26.1%), 교사(18.3%), 친구(2.3%) 등 순이었으며 서울대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는 '사회적 인정(37.5%)때문이었다.
대학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37.8%가 학업을 꼽았고 25.2%는 대인관계라고 답했다.
자신의 사회계층에 대한 물음에는 51.2%가 중류층이라고 대답했고 중상류층 27.3%, 중하류층 16.8%, 하류층 2.4%, 상류층 2.2%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작년 8월과 올해 2월 졸업생 및 기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서울대생이 `선후배 및 동료와의 인간관계'와 `팀 협동과제 수행능력', `예술적 소양 및 안목'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학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26.9%가 학과 내 다른 교수들의 지도 기회 부족을 논문심사와 관련한 문제점으로 지적했고 21.6%가 논문지도가 가능한 분야의 교수 부족을 언급했으며 이 밖에 형식적인 심사(15.4%), 지나치게 까다로운 심사(9.6%) 등이 개선점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