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이 담에 커서 뭐가 될래?” “경찰이요.” “불자동차 아저씨.” “선생님 아니면 간호사 언니!”
어릴 적 누구나 한번쯤은 부모님이나 주위의 어른들로부터 이런 질문을 받아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어른이 되어서는 또 누구나 한번쯤 본인이 그랬듯이 자녀들이나 동네 꼬마들에게 이런 식으로 그저 별 뜻 없이, 귀여움에 겨워 ‘장래 희망’을 물어보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그 꼬마가 자라서 정말 경찰이나 소방대원, 교사나 간호사가 되었다고 할 때 어릴 적 대답대로 성취되었다며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어린 아이들의 세계는 부모님이나 가까운 친척들, 주변 어른들의 생활로부터 시작되기 마련이라 그 분들의 직업이나 하는 일을 보면서 자신도 그런 일을 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성장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자기 길을 가게 되고 그 가운데 어릴 적 말한 그 일을 하지 말란 법이 없을테니 말이다.
하지만 앞으로 호주에서는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들도 자신의 장래와 직업선택을 심각하게(?) 고려하는 훈련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연방 교육부와 고용 및 직업기술부측은 어릴 적부터 자신의 미래와 장래 직업에 대해 구체적이면서 깊이 생각하는 자세를 심어주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유아원 및 유치원 과정에 정식으로 관련 코스 마련을 추진 중이다.
어린 아이들은 집안에서 맴돌며 부모나 자주 만나는 친척들이 하는 일 외에는 다른 직업에 대한 개념을 가지기 어렵다는 점을 우려해 아이들의 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직업들을 상기시키고 일의 특성과 배경에 대해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정식 프로그램이 그 내용이다.
일례로 유치원에서 어린이들에게 영화를 보여줄 때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직업이나 하는 일들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주의깊게 관찰하는 훈련을 시킨다거나, 게임이나 놀이를 할 때도 역할에 대한 개념을 심어주는 것 등이다. 그 밖에 체험학습이나 야외 활동, 소풍을 갈 때도 주변에서 만나는 어른들의 다양한 활동과 모습을 직업과 연관하여 개념화하는 사고를 심어주는 것도 한 방법이라는 것. 버스를 타고 박물관 기행을 한다면, 운전사를 포함해서 버스를 움직이게 하는 관련 커리어들을 떠올리게 하는 훈련 및, 박물관에서는 과학자나 인류학자, 역사학자의 역할을 견학을 통해 자연스럽게 접하게 될 것이라는 취지이다.
하지만 이같은 직업관 훈련 조기 교육방침에 대해 유아 교육 관련자들과 일선 유치원 교사들의 반응은 한마디로 얼토당토않은 발상이라는 것에 모아지고 있다. 이제 겨우 기저귀를 떼고 말귀를 알아듣기 시작한 어린 아이들에게 아무리 생활 범주 내에서라지만 직업 선택을 위한 개념 교육을 시킨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아이들의 꿈꾸는 능력과 무정형적이며 무한한 상상력의 싹을 애초부터 잘라내려는, 한마디로 미친 짓이라고 거친 반론을 제기하며 일부 학령전 교육단체들은 교육부의 이같은 방침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정식으로 입장을 밝혔다.
이같은 반발에 대해 과정개설을 추진 중인 교육부 관련자들은 보통 6세 정도면 커서 무슨 일을 할 것인지, 자신에게 맞는 일은 무엇인지를 발견하기에 어리지 않은 나이라며, 커리어 선택에 대한 조기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어릴 적부터 이런 훈련이 되어 있지 않으면 직업선택 상황에 현실적으로 직면하는 고등학생 때 우왕좌왕하는 사태가 벌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때는 이미 늦었다는 게 이들의 생각이다. 전체적인 시각에서 자신의 장래를 검토하지 못한 채 불충분한 자료와 불확신에 기인한 제한적인 선택을 하게 되면 결국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불행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우려이다.
하지만 유아교육계측은 고등학교 2, 3학년도 자신의 장래를 구체적으로 준비하기에는 실상 빠른 시기라며 하물며 네, 다섯살 먹은 아이들에게 앞으로 20년 후에나 닥칠 자신의 모습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와닿을 수 있겠느냐는 반론을 펼치고 있다. 아이들이 아이들답게 자라도록 왜 그냥 내버려 둘 수 없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부모들이나 타 분야 종사자들 사이에는 시각을 달리한다면 점차 조기교육열풍이 몰아치는 현실을 감안할 때, 무조건 ‘공부, 공부’하기보다 비록 어린 나이지만 타고난 재능이나 소질을 중심으로 장래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일을 미리 생각하도록 하는 훈련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견해도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