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가 20일 시범도입 계획을 밝힌 중ㆍ고교 교과교실제는 제대로만 정착되면 교실 수업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제도라는 점에서 주목할만 하다.
외국 영화에서 흔히 보듯 학생들이 라커(locker)에 짐을 놓아두고 교실을 옮겨다니며 수업을 듣는 방식이 우리나라에도 도입되는 것이다.
일부 교육학자들의 경우 '교실혁명'이라고도 표현할 정도다.
학생의 선택에 따라, 수준에 따라 다양한 수업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지만 인프라 구축, 우열반 변질 우려 극복 등 선결 과제도 만만치 않다.
◇ 교과별 전용교실로 이동수업 = 교과교실제란 교과별로 전용교실을 두고 학생들이 수업 시간표에 따라 교실을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 것을 말한다.
현재 중ㆍ고교 수업 방식은 학생들이 한 교실에 머물고 교과 담당 교사들이 시간표에 따라 교실에 들어가 수업을 하는 형태지만, 교과교실제가 도입되면 반대로 교사들이 교실에 머물고 학생들이 이동하며 수업을 듣게 된다.
예를 들어 영어수업 시간에는 영어전용교실로, 수학시간에는 수학전용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듣는 것이다.
그렇다고 '몇학년 몇반' 또는 담임 개념이 아예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은 지금처럼 학년ㆍ반에 따라 소속된 교실을 갖게 되고 각 반에는 담임교사도 배치된다.
따라서 자신이 속한 교실로 일단 등교를 했다가 수업이 시작되면 해당 교과의 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듣게 된다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중학교의 경우 같은 반 학생들이 수준별 이동수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같은 과목을 듣게 되므로 한 반의 학생이 수업 시간표에 따라 모두 영어교실로 이동하거나 수학교실로 이동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때문에 대학교처럼 학생 개개인이 선택한 과목에 따라 같은 반 학생이라도 이동하는 교실이 다 달라질 수 있다.
이미 2007년 3월부터 교과교실제를 실시하고 있는 서울 한가람고의 경우 대부분의 선택과목을 개설해 놓고 있어 학생들마다 수업 시간표가 다르다.
이 학교 이옥식 교장은 "전과목, 전교과에 걸쳐 교과교실제를 운영하고 있다"며 "따라서 고2의 경우 전체 320명 학생이 각각 선택한 과목의 조합 유형이 무려 132가지, 고3은 84가지나 된다"고 소개했다.
교과부는 교과교실제를 전국 모든 학교에 한꺼번에 도입하기 어려운만큼 일단 600여곳의 중ㆍ고교를 선정해 내년 3월부터 시범운영할 계획이다.
600곳의 학교는 교과교실제 '전면도입형'과 '부분도입형'으로 나눠 전면도입형 학교는 45곳 정도만 선정하기로 했다.
전면도입형은 대부분의 교과에 교과교실제를 적용하는 학교로, 일단 시범운영 결과를 지켜본 뒤 전면도입 학교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45곳을 제외한 나머지 학교들은 수학, 과학, 영어 등 일부 교과에만 교과교실제를 적용하거나 기존의 수준별 수업을 확대하는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 선결돼야 할 과제는 = 교과교실제의 가장 큰 장점은 교과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수업이 가능해지고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고교의 경우 학생들의 선택권도 그만큼 확대된다는 점이다.
지금은 모든 교과를 한 교실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교과별 특성에 맞는 교실 환경을 구축하기 어렵다.
그러나 교과교실제가 도입되면 영어교실은 영어수업에 맞게 의자와 탁자를 자유롭게 배치한다거나 각종 시청각 교육자재를 상시 구비하는 등 교과별 특성에 맞는 교실을 만들 수 있다.
한가람고 수학교실의 경우 여러 학생들이 동시에 나와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이동식 칠판이 여럿 설치돼 있고 천장에 각종 도형이 걸려있는 등 교실별로 특색있게 꾸며놓았다.
교사 입장에서는 자신의 전용교실에 상주하면서 수업을 준비할 수 있게 돼 그만큼 수업에 대해 연구할 시간이 많아지고 수업의 전문성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 제도가 정착되기 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먼저 학교의 인프라 확충이 우선돼야 한다.
교과별로 전용교실을 설치하는 것을 비롯해 학생들이 하루 종일 머무는 교실이 없어지는 만큼 학생 휴게실, 도서실, 라커룸 등의 시설 확충도 필수적이다.
교원, 강사, 행정보조인력 등이 부족한 학교에 대한 지원, 교과교실 수업을 위한 교수ㆍ학습 프로그램 개발도 이뤄져야 한다.
일각에서는 교과교실제의 한 방식인 수준별 이동수업 확대가 결국 우열반 형태로 변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교과교실제 전환을 위해 교실 증ㆍ개축비, 리모델링비 등 예산을 지원하고 교원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운영 연수를 실시하는 등 제도의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각종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