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남학생 70명에 여학생은 겨우 6명뿐인 남녀공학을 다녔는데 거친 남학생들을 다잡느라 복도에 매타작 하던 소리가 끊이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학생들은 상상도 못할 일이지요.”
호주 빅토리아 주도 멜버른에 위치한 한 여학교 교장의 회상이다. 이 학교는 여학교로는 빅토리아 주에서 가장 큰 규모로 학생이 1200 명이지만 학생들에게 매를 드는 일은 사라진 지 오래다.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고 올바른 사고를 심어주기 위해 학생들에게 체벌을 가하는 일은 교사들조차 이미 상상을 못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 때 그 시절’처럼 학교 건물은 유구한 역사 속에 건재하지만 학교 운영은 이미 다른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명국가라면 대부분 비슷한 추이듯이 호주의 학교도 변하고 있다. 교사의 권위가 인정되는 분위기는 사라지고 교사와 학생들 사이는 권위와 순종 대신 이른바 상호 존중 방식이 익숙해지고 있다. 청소년기에 익혀야 할 기존 질서나 원칙은 ‘자기 절제, 자기 훈련’이라는 명분으로 학생 스스로에게 넘기고 있다.
빅토리아 주의 경우는 지난 1983년, 공립학교 체벌 행위를 정식으로 금지시켰다. 대신 민주적인 방식으로 교사와 학생간은 서로 이해하고 관용하며, 공평하게 서로를 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학교는 더이상 강제적이고 일률적인 규율을 적용하기보다, 학생들의 행동에 일정한 선을 긋고, 지속적인 가이드라인 제공과 이를 어겼을 경우의 특정한 불이익 감수, 긍정적 격려 등을 통해 학생들의 행동을 수정하겠다는 것이다. 덧붙여 학교에 따라서는 잘못된 행동을 지적하거나 벌을 줄 것도 없이 오직 긍정적 행동만을 강화시킨다는 원칙하에 칭찬받을만한 일에 대한 포상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학생들을 존중한다는 원칙 하에 정학 및 퇴학 조치도 최소화한 것은 물론이다.
학교측은 엄격한 규율이나 훈육이 배제될 경우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자율성이 주어지고 그 결과 수동적이고 무미건조하던 종전의 나태한 태도에서 벗어나 학교생활에 어떤 목적의식과 방향성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전통적인 훈육 방법이 퇴색하면서 행동 교정을 위한 보다 창의적인 방침이 학생들에게 학업 성취 및 학교생활에 흥미를 높이는 동기로 작용할 것이라는 이유에서이다.
실제 빅토리아주의 경우는 각 학교마다 각기 다른 규율체계를 가지고 있다. 학교에 따라 정학이나 퇴학, 지각이나 결석 등, 학생들의 품행에 관련된 규제 및 벌칙 조항이 각기 다르게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은 일부러 말썽을 피운다기보다 심신의 미숙함으로 인해 실수할 수 있으며, 기성세대의 기대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수도 있지만 시행착오를 통해 배우는 나이니만큼 교사들이 너그러운 마음으로 인내하자는 취지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호주 대부분 학교에서 학내 체벌이 사라진 지는 사실상 10년이 넘었다. 그럼에도 안하무인으로 점점 거칠어지는 요즘 학생들을 통솔하기 위해 학교측은 여전히 규율 문제로 난제를 겪고 있으며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실상 빅토리아 주 공립학교의 경우만해도 지난 해 총 550명이 퇴학을 당하고 1만 6000 명 이상이 정학 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강제적 규율을 느슨하게 하고 보다 많은 자율성과 존중권을 학생들에게 부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내의 신체 및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학내기물 파손행위를 비롯 약물과 알콜 복용사례 등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학부모들 사이에서 학교 규율이 너무 엄하다고 불만인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오히려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여기지요. 하지만 실상 요즘 학교는 규율이 거의 없다고 봐야합니다.”
한 고등학교장의 말이다. 그는 오만방자한 학생들에게 학교측이 체벌을 가할 수 없게 된 후 학생들과의 갈등을 피하기위해 전전긍긍하고 있는 실정임을 솔직히 인정했다. 대세와는 달리 자녀들을 엄격히 다루어주기를 원하는 학부모들은 그나마 규율이 엄한 편인 사립학교를 택하는 경향이 높다. 공립학교는 이미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통제력을 잃은 지 오래라는 판단에서이다. 지난 2004년 호주 교육위원회의 통계 조사 결과도 이같은 사실을 뒷받침한다. 자녀를 어떤 학교에 보낼지에 대한 선정 기준으로 학부모들은 ‘학칙과 규율의 엄함’을 꼽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