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인 양성을 목표로 운영돼 온 전문계고(옛 실업계고)를 690여곳에서 2015년까지 400개로 줄이고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으로 전환하는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추진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9일 오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고교 단계의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을 주제로 공청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전문계고 체제 개편 시안을 공개했다.
시안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교과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한 정책연구 결과로, 교과부는 학교 현장과 학계, 산업계 등의 의견을 수렴해 다음달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주요 내용에 따르면 2013년부터 고교 학생수가 급감한다는 주요 통계기관의 전망에 따라 현재 691개인 전문계고 수를 2015년까지 400개교 정도로 줄일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전문계고에 대한 체제 개편을 단행해 400여개 전문계고를 특성화고 또는 특목고형 마이스터고로 전환하고 농어촌 지역의 여건이 열악한 일부 전문계고는 통합형고, 일반계고, 예체능 중점고 등으로 전환을 추진키로 했다.
직업능력개발원은 이와 관련해 지난달 전국의 469개 전문계고 교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의 69%가 학교 유형을 전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으며 그 중 40%는 일반고 또는 통합형고, 예체능고로의 전환을 희망했다고 설명했다.
또 전문계고 졸업생 대부분 취업 대신 진학(79.8%)을 선택하는 등 당초 목표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전문계고의 직업 교육 기능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 3월 처음 문을 열 마이스터고를 전문계고의 대표적 모델로 정착시키고 `취업선도학교'를 지정, 운영하며 시도 교육청 등 지방 공공기관이 `숙련인재 추천 채용 제도'를 통해 전문계고 졸업생들을 우선 채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각 대학의 전문계고 출신 재직자 특별전형은 정원 외 4%까지 선발 규모를 확대하도록 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KSS)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전문계고에 적합한 `직업기초능력 평가'를 개발, 내년 시범 적용한 뒤 2011년부터는 기업체가 이를 전문계고 졸업생의 채용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학력향상 중점학교로 지정된 학교의 경우 학생 수준별로 학습 보정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초학력 미달 및 학습장애 학생을 줄여나가도록 할 방침이다.
이주호 교과부 제1차관은 "직업교육 선진화는 고품질의 직업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건실한 기업에 취업하는 것"이라며 "최종안을 12월 중 발표하고 전문계고 선진화 방안을 내년도 교과부의 최우선 과제로 선정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