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6.2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 후보와 '코드'를 맞출 교육감 후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올해부터 광역 시·도단체장과 동시 선출되는 교육감 선거가 전체 선거 판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판단 아래 최적의 조합 찾기에 본격 나선 것이다.
민주당이 교육감 후보군에 촉각을 세우는 것은 지난해 경기도 교육감 선거에서 진보진영의 지원으로 당선된 '김상곤 효과'와 무관치 않다.
벌써부터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김진표 최고위원과 이종걸 의원, 진보신당 심상정 전 의원은 김 교육감이 추진 중인 무상급식제 도입 등 각종 사안에서 행보를 같이하고 있을 정도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16일 "교육은 선거 승패의 열쇠를 쥔 중장년층의 최대 관심사이자 여당과 차별화를 기할 수 있는 대표적 분야"라며 "특히 광역단체장 후보들이 대중적 인지도를 갖춘 교육감 후보와 '짝'을 이룰 경우 선거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우선 지방선거의 최대 승부처인 서울 교육감 후보로는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 교수를 비롯해 국가인권위원인 조 국 서울대 교수, 국가인권위원장을 지낸 안경환 서울대 교수, 전교조 위원장 출신의 이부영 서울시 교육위원, 최갑수 서울대 교수, 이장희 한국외대 교수, 이종오 명지대 교수가 거론된다.
또 광주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을 지낸 황지우 시인, 충북은 전교조 해직교사 출신의 도종환 시인이 교육감 후보로 거명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서울 교육감 후보가 많은 것은 민주당의 광역단체장 후보가 한나라당 소속인 오세훈 서울시장에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그러나 문제는 신영복, 조 국, 안경환 교수처럼 민주당에서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유명 인사들이 주변의 출마 권유에 난색을 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후보끼리 정책협약이나 공동공약 등을 추진한다면 전체 선거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교육감 선거 진행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로선 지역별로 하마평만 무성할 뿐 진도는 나가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