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0 (목)

  • 구름많음동두천 30.7℃
  • 구름많음강릉 29.0℃
  • 구름조금서울 32.7℃
  • 구름많음대전 26.5℃
  • 흐림대구 25.8℃
  • 흐림울산 22.6℃
  • 흐림광주 23.3℃
  • 흐림부산 23.2℃
  • 흐림고창 24.2℃
  • 흐림제주 22.8℃
  • 맑음강화 26.7℃
  • 흐림보은 25.1℃
  • 흐림금산 25.3℃
  • 흐림강진군 22.3℃
  • 흐림경주시 24.1℃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오페타야, 교사의 빼어난 역량이죠"

핀란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마스다 유리야/ 시대의 창

"현장교사에게 모든 것을 믿고 맡기기 때문에 현장 교사도 그런 신뢰에 부응할 만한 인재이지 않으면 안되고, 질 높은 교원을 양성해야 하는 것이다."


“오페타야, 오페타야, 오페타야! 교사의 빼어난 역량이지요.”

핀란드가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비결에 대해 어느 교장이나 같은 답을 한다. ‘오페타야’는 교사를 가리키는 핀란드어다.

세계 1위의 학력을 자랑하는 핀란드 교육의 비밀을 찾는 책들이 국내에서도 줄을 이었다. PISA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다 점차 순위가 하락해 ‘학력 저하론’이 나오고 있는 일본에서는 이같은 핀란드 열풍이 더욱 거세다. 오죽하면 ‘핀란드 참배’라는 자조섞인 말이 나올 정도겠는가.

그럼에도 일본 고등학교 교사이자 교육 칼럼니스트인 저자 마스다 유리야는 핀란드를 찾았다.

저자는 “일본인 방문객이 끊이지 않는다는 말을 듣고 있던 터라 기대에 가득 차고 어깨에 잔뜩 힘이 들어가 있었다”며 “하지만 보고 듣는 모든 것이 단지 정도(正道)를 실천하고 있는 것일 뿐. 그 ‘정도’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본 교육이 결여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말로 깨닫기까지 3년이나 걸렸다”고 했다.

저자가 3년에 걸친 취재 끝에 얻은 결론의 핵심은 바로 핀란드 교사, ‘오페타야’의 역량에 있다. 사회적 지위가 의사와 동등하다고 할 정도로 존경을 받고 있는 핀란드 교사. 어느 누구나 핀란드 교육의 우수성은 교사의 힘이라고 당당히 말할 정도로 핀란드에서 교사는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만큼 핀란드의 교육현장에서 교사에 대한 신뢰 또한 높다. 저자가 취재한 키르쉬 린드루스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은 “현장을 신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단언한다. 각 학교의 교장은 근무평정 없이 현장 교사에게 모든 것을 믿고 맡기는 것이 핀란드의 교육이다. 이는 학교 자율화를 추진하되 이에 대한 평가를 강화해 가는 우리네와 다른 이야기다.

학생의 성적을 매기는 구체적 방법도 현장에 맡겨져 있다. 교사의 주관에 따라 성적이 좌우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 저자에게는 이것도 질문거리였다. 그러나 이 질문 자체가 핀란드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성적의 기준을 묻는 저자에게 중학교 드라마 담당 교사는 "제가 제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결정하기 너무 어려울 때는 교장과 상담합니다. 왜 그런 질문을 하는 지 이해할 수 없군요"라며 불쾌한 표정을 짓는다. 핀란드 교사에게 이러한 질문은 '나를 교사로서 신뢰하지 못한다는 말 아닌가'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핀란드에서는 학교에 모든 것을 맡기는 신뢰가 곧 교사의 질 향상과도 연결된다는 입장이다. 키르쉬 국가교육위원장은 "현장 교사에게 모든 것을 믿고 맡기기 때문에 현장 교사도 그런 신뢰에 부응할 만한 인재이지 않으면 안되고, 질 높은 교원을 양성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밝힌다.

그만큼 핀란드에서는 교원을 양성하는 과정이 까다로운 편이다.

카이스 칼카이넨 아라비아종합학교 교장은 "다른 나라와 달리 핀란드에서는 교사가 되려면 석사학위를 따야만 합니다. 대학 졸업까지 5~6년은 걸립니다. 교육이론부터 심리학까지 모두 배우고, 반년이나 되는 긴 교육실습 기간을 거쳐야 겨우 자격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한다.

이러다보니 교과담임 가운데 교육학과 자신의 전공과목 두 분야에서 석사학위를 딴 학생도 있고, 혹 교사가 안되더라도 전문 연구자의 길로 나가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기업에서도 교직과정을 거친 학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단다.

이곳에서의 교육실습기간은 초등학교 학급 담임은 기초실습 7주, 응용실습 5주로 2회에 나눠서 진행된다. 교과담임은 3회로 나눠 총 19주에 걸쳐 실습을 하게 된다. 좀더 훈련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으면 1주, 2주 단위로 실습 기간을 연장하기도 한다. 실습생을 지도하는 교사에 대해서도 2년에 걸친 연수가 마련돼 있다. 그만큼 예비 교사에 대한 지원을 학교 차원에서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교직 이수과정이 이렇게 어려운 만큼 일본처럼 '우선 교사자격증을 따고 보자'라는 식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한 달의 교육실습이 전부인 우리나라에서도 이 부분은 관심을 둘 만한 대목이다. 학교 현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실습이 선행된 뒤에 임용시험을 거쳐 학교 현장에 투입된다면, 실제로 신임 교사들이 갖는 부담도 줄일 수 있고 학생들에 대한 교육도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어서다.

결국 핀란드의 교육력은 교사에게서 나온다는 것이 저자가 전하려는 메시지이다. 저자가 만난 피리요 교사는 "저는 교사 일이 정말 좋아요. 이 일은 같은 날이 하루도 없어요. 아이들의 모습도 매일 다르고, 저마다 배움을 찾는 노력을 끊임없이 하지 않으면 안되지요"라고 말한다. 핀란드에서는 교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 교사 개인의 자부심과 역량이 학생들의 교육에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