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는 개별학생의 성적 및 전국 1만개에 달하는 학교별 순위 공개로 끊임없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웹사이트 ‘마이스쿨’의 부작용이 일파만파 지속되고 있다.
‘마이스쿨’로 인해 성적순으로 학교 ‘줄 세우기’가 가능하게 되자 이른바 자질부족 교사를 해고할 것을 학교 측에 요구하는 학부모들의 압력이 거세지는가 하면,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키지 못할 경우 교장 해임의 압박까지 받고 있다.
그런가하면 각 학교별로 비영어권 출신 학생과 장애학생 비율도 곧 공개될 것으로 보여 성적이 저조한 학생들과 함께 상대적 소수자인 학생들이 또 다른 희생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반면 학교에 따라서는 아시아계 학생들이 고득점을 ‘싹쓸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아시아계 이민자가 많이 몰려있는 지역의 학교들은 너끈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이른바 ‘따라지’ 학교에 다니고 있다는 낙인이 찍힐까 두려워 실력이 없는 교사들을 가려내는 데 오랜 시간을 지체할 필요 없이 즉각적으로 해고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호주는 선진국 가운데 교사의 질이 낮은 편에 속하지만, 학교장들의 교사 평가권이나 상벌 조치, 해고 등에 대한 권한이 철회되면서 나태하고 해이한 교사들이 학생들 학력 저하의 첫째 원인이 되고 있다는 것이 학부모들의 주장이다.
호주는 지난 2008년 초, 교사연합회의 압력에 의해 교장이 가진 교사 채용과 해고 권한을 교육부가 무산시킨 바 있다.
뉴사우스 웨일즈 주 학부모시민연합회측은 “모든 학부모들은 수준 높은 교사가 교단에 서기를 열망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평가하며, ‘마이스쿨’을 가동하는 동기가 각 학교별 성적향상에 있는 만큼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실력을 갖춘 교사 확보는 가장 기초적인 조건에 속한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교사들의 수준 평가가 시행되는 동안 딴 학교로 옮겨가 버리면 결국 개선은 이뤄지지 않는다고 우려하며 즉각 해고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마이스쿨’에 성적이 집중 공개되는 학년은 3학년과 5학년인데 이 두 학년이 전국적인 학력 평가 고사를 치른 후 그 성적이 웹사이트에 공개되고 있다. 따라서 3학년과 5학년 담임교사는 시험을 앞두고 전에 없는 압박감을 갖게 됐다. 학부모들의 사이트 검색이 잦아지면서 결과가 나쁠 경우 교단을 떠나야 하는 압력까지 받게 되자 다른 학년으로 담임을 옮겨달라는 호소가 이어질 정도다.
호주 교육부는 교사들의 불안감을 달래고 학부모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해당 교사들을 상대로 정당한 절차를 거쳐 실력을 검증토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만약 자질 부족 평가를 받을 경우 10주간의 보강 프로그램을 실시해 부족한 면을 보충토록 하며, 프로그램 이수 후에도 여전히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해고를 포함한 보다 강경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수순이라고 설명했다.
뉴사우스 웨일즈 주 교사평가회는 교사들의 실력에 대한 신규 평가 기준이 적용되는 연수회에 이미 350명의 교사가 등록을 했고, 올 연말까지 150명이 추가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학부모들의 ‘원성’이 공립학교 교사들에게 집중되고 있는 데 반해 성적이 대부분 높은 사립학교는 ‘마이스쿨’이 가동된 이후 교사들에게 차등 급여를 지급하는 등 연봉 인상의 실질적 기회를 맞고 있다. 이로 인해 사립학교 교사의 경우 업무 평가도에 따라 최고 10만불 이상의 연봉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공립학교 교사들의 최고 연봉은 7만 9000불 수준으로 ‘마이스쿨’ 정착 이후 사립학교와 공립학교 간 교사 연봉 차이는 더욱 벌어지게 된 데다 공립학교 교사의 경우 실력 미달일 경우 해고의 위기에 봉착하는 등 불이익을 당하게 된 것이다.
다양한 부작용을 우려하여 ‘마이스쿨’ 폐지론을 강경 주장하던 교사 및 교육 관련 단체들의 목소리는 시나브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기왕 가동된 것, 교육계가 극단의 몸살을 앓지 않으면서 제대로 정착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