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3~6에서 중학까지 ‘기본’, 고교는 ‘중급’ ENLACE 평가
정책 수립 위한 ‘진단’ 시험, 학생 개별 성적 발송 안 해
ENLACE 사이트서 성적 확인 가능, 학교에는 결과 전달멕시코에서 전국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에 해당하는 시험은 ENLACE(Evaluación Nacional de Logro Académico en Centros Escolares)이다. 이 시험은 국가교육과정이 실행되는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 성과와 한계를 측정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수립을 목적으로 전국의 국·공·사립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ENLACE는 다시 ‘기본교육 ENLACE'와 ‘중급교육 ENLACE’로 나뉘는데, 전자는 초등생·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후자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ENLACE는 정책 수립을 위한 진단 성격의 시험이기 때문에 개인이나 기관의 순위를 매기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점수를 조작하는 등의 성취도 측정을 방해할 이유가 전혀 없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ENLACE는 개개의 학생·학교의 성취도를 증명하기 위한 측정법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가 학생들이나 학부모에게 성적을 별도로 발송하지 않는다. 또한 ENLACE의 평가 결과는 시험 당사자인 학생들은 물론 교사, 학교장, 부모, 지역 인사, 언론 등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본교육 ENLACE = ‘기본교육 ENLACE'는 2006년부터 올해까지 5회째 이어지고 있다. 매년 4월경에 시행되는데 2010년의 경우에는 각 주별로 4월 19일~23일에 실시되었다. 이 시험은 2006~2008년 동안에는 기본교육(Educación Básica)과정(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 해당하는 학생들 중에서 초등 3~6학년, 중학 3학년에 해당되는 학생들에게 적용되었는데, 작년(2009년)부터 중학 1, 2학년 학생들에게까지 적용 대상이 확대됐다. 시험 과목은 2006~2007년에는 스페인어(우리나라의 국어에 해당)와 수학 두 개만 있었으나 2008년부터는 과학, 도덕·윤리, 역사, 지리 중에서 1과목씩 교대로 추가해 실시하고 있다
.<표1 참조>

- 평가의 특징 : 이 시험은 전국단위의 비교를 전제로 맞추어진 평가로 사전에 평가 방식, 방법론 등이 정확하게 계획돼 실시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예시 중 한 가지 답안만이 존재하는 4지선다형(選多型) 평가이다. 또한 OMR 카드를 이용한 측정이므로 검토의 자동화가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시험의 성격상 교육수준, 교육방식, 학교·교사·연방행정기관의 역할수행 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으며,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평가결과를 사용 할 수 없다.
- 평가 시행 전략 : 평가시행 책임자는 초등, 중학교 등의 교육기구와 같은 각 지방 책임위원들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하는 주 평가위원회 소속이거나 혹은 해당 분야에서 직함을 가진 인사가 된다. 평가시행 책임자는 학부모를 포함한 지역 인사(사업가, 지역 유지 등)들을 참관자(또는 감독관) 자격으로나 초빙해야 한다. 이와는 별도로 각 학교에 의무적으로 외부 책임자를 선임하며 이는 학교장과 협의에 의해 이루어진다.
- 평가 실시 방법 : 평가는 2일 동안 하루 4교시(각 45분 단위)씩 나뉘어 실시한다. 각 수험생은 스페인어, 수학, 추가 과목에 해당되는 선다형(選多型) 문제가 있는 시험지를 받고 OMR 카드에 자신이 선택한 답을 표시한다. 모든 답지에는 분리되는 부분(쿠폰)이 있는데 이는 각 수험생의 결과를 참조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증거서류와 같은 역할을 한다. 모든 평가는 원주민 출신의 학생을 구분하고 평가 내의 문항에 대한 이해와 스페인어 능력 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을 포함한다. 평가 실시 학교 중에서 표본학교로 지정된 학교의 학생, 교사, 학부모는 평가가 실시되는 3일째 되는 날 설문 조사지를 받으며, 이는 매년 실시되는 평가결과의 비교와 분석에 참고 자료로 이용된다. 교과서와 수업 메모를 한 공책을 참조하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안내서 혹은 보조교재 등을 사서 볼 필요가 없다. 혹시 학교에서 여기에 언급된 내용들 중 일부를 배우지 않았거나 그에 대한 답을 알지 못한다면 빈칸으로 놔두도록 한다.
- 시험지의 구성 : 스페인어의 경우 학년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지만 대개 50~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 항목별 문항 구성을 예로 들어보면
<표2>와 같다.
■중급교육 ENLACE = 중급교육(Educación Media Superior)과정의 마지막 학년에 해당하는 고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중급교육 ENLACE'는 언어 이해력과 수학 능력을 측정하는데 언어와 수학에 대한 기초지식과 활용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즉, 해당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획득한 실질적 지식과 기본적 능력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진단을 내리기 위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 시험은 2008년도에 처음 시작, 올해 3회째를 맞고 있으며, 매년 3~4월에 실시되는데 올해에는 3월 23~25일에 실시되었다.
실시 대상은 기본적으로 연방과 주 소속 중급교육단계(고등학교)에 있는 모든 국·공립학교와 교육부, 연방교육기관에 등록되어 공식인가를 받은 사립학교들이 본 평가에 참여한다. 이와 함께 자치적 성격을 띤 교육기관과 그에 소속된 학교들도 참여한다.
- 평가의 특징 : ‘중급교육 ENLACE’도 ‘기본교육 ENLACE’와 마찬가지로 4지선다형(選多型) 평가로, 문제지에 제시된 문항에서 정답을 골라 답지에 적어 넣는 표준화되고 객관적인 평가이다. 언어 이해력 영역에서 50문항, 그리고 수학 능력 영역에서 90문항이 출제되는데, 학생 개개인의 언어 이해력과 수학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진단적 성격의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중급교육시스템, 하위시스템, 학교, 교사뿐만 아니라 연방교육기관의 역할에 대한 어떠한 판단이나 결론을 내리기 위한 목적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평가의 결과를 가지고 개개의 학교와 해당 학생에 대한 학문적, 교육적 판단을 도출할 수 없다. 또한 이 평가 결과를 대학 입학선발자료로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 평가 내용: 언어 이해력과 수학 능력으로 구체적 항목별 문항 구성을 살펴보면
<표3>과 같다.

평가결과는 두 가지 영역 모두 ‘부족-보통-좋음-매우 좋음’ 네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각 기준마다 세부 능력을 아주 구체적으로 서술, 규정해 놓고 있으므로, 이 분류에 따라 엄밀히 구분된 평가 결과는 학생들이 기존에 획득했던 능력의 단계와 현재 가지고 있는 능력의 차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제시된 기준을 근거로 향상된 부분과 더 증진되어야 할 부분을 알 수 있다.
- 평가 실시 체제 : 평가는 시험출제를 위하여 수립된 국제기준을 근거로 만들어 진다. 언급된 과정에서 시험의 내용을 결정하는 기술위원회와 교수위원회의 권고가 포함되어 있다.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의 전문가들과 마드리드 꼼쁠루뗀세 대학교의 교육전문가들로 평가기술위원회는 구성되어있다.
이와 함께 시험지 및 답안지 작성과 평가는 중급교육과정과 고등교육과정(대학교)에서 폭 넓은 경험을 쌓은 교사들과 전문가(교수)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국고등교육평가위원회(CENEVAL)와 다양한 사립·공립교육기관의 교사와 전문가들 역시 참여한다.
평가의 시행을 위해 전국의 각 주에 존재하는 주 관할평가분야(Areas Estatales de Evaluación)에서 축적된 경험과 지원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각 주의 중급교육청 대리인들과 연방교육지원부(Oficinas de Servicios Federales de Apoyo a la Educación - OSFAE) 소속 전문가들이 평가 시행을 위한 준비·진행 과정의 감독에 참여한다.
멕시코 학업성취도 평가(ENLACE)의 가장 큰 특징은 학부모, 기업인, 지역 유지 등 다양한 외부 인사들을 평가 시행 감독관으로 초빙한다는 점이다. 감독관 초빙은 학생 교육에 관심 있는 외부 인사들의 자발적 신청을 받아 초빙이 이루어진다. 이들은 평가가 실시되는 과정을 참관하면서 규정에 따라 제대로 시험이 시행되는지 감독하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와는 달리 평가 결과를 이용해 학생 개개인이나 학교, 지역 간 순위를 매기거나 비교·경쟁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성취도 평가를 통해 학력의 영역별 균형 유지와 향상 도모를 위한 정책 수립이라는 본래의 목적에만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평가 결과에 대한 접근이 쉽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 결과를 공개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시험을 치른 학생들은 교육부 사이트와 ENLACE 사이트에 접속해 직접 자신의 성적을 알 수 있고, 각 학교에도 평가 결과가 전달이 된다. 그리고 언론에 보도 자료로 발표하는 것은 물론 언론에 세부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