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에 실란이 이사 온 지는 5년이 좀 넘었나 봐요. 정확히 표현하면 공원에 버려진 말라가는 실란이 가여워 주어다가 우리 집 화분에 심은 지가 그 정도 됐다는 거죠. 빈 화분에 거름흙을 섞어서 정성껏 심었습니다. 그렇지만 첫해에는 몸살을 앓는지 꽃을 피우지 않았습니다. 다음 봄에도 꽃을 피우지 않아서 이젠 그러려니 생각하며 지냈습니다.
3년 째 되는 봄이었습니다. 우연히 베란다를 바라보던 나는 마치 조화처럼 올라온 3개의 꽃대에 피어난 하얀 꽃이 생소하여 깜짝 놀랐습니다.
“아! 네가 꽃을 피웠구나.”
나도 모르게 베란다 문을 열고 나갔습니다. 수줍은 듯 약간 오므린 꽃을 보고, 또 보았습니다. 다시 살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버리지 않아 꽃도 피웠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5년째 되는 올 봄엔 지난해보다 더 많은 20여 개의 꽃대를 올렸습니다. 봄마다 분갈이를 해 주는 나의 정성을 잊지 않았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올해에는 봄에 꽃을 피운 것도 모자랐는지 10월쯤에 또 쉴 새 없이 많은 꽃대를 올리며 꽃을 피웠습니다.
‘이게 무슨 일 일까? 좋은 일이 있으려나?’
막연히 꽃을 보며 생각했습니다. 특별한 일이 없이 11월을 맞이했고, 그날은 18일이었습니다. 퇴근 시간이 되어갈 무렵 핸드폰이 울렸습니다.
“교육신문사입니다. 선생님의 동화가 당선되어 연락드립니다.”
대화를 더 나누었습니다. 하지만 단지 이 전언만 기억이 날 뿐입니다. 버려진 실란이 저를 만나 새 삶을 시작하였듯 저는 동화를 만나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실란이 한 해에 꽃을 두 번 피웠듯이 저도 올해 동화로 인하여 다시 태어났으니 두 번 태어난 거지요.
동화를 쓰기 시작하면서 저에게는 아주 많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시간을 쪼개서 쓰게 되고 동화책을 옆에 끼고 살았습니다. 아이들이 하는 말과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는 습관이 생기고 아이들이 제게 와서 하는 말들을 끝까지 들어 주었습니다.
여기까지 오면서 나를 격려 해준 가족, 응원 해준 동료, 소재를 안겨준 우리 반 아이들까지 다들 너무나 고맙습니다. 이제 한걸음 떼었으니 그 격려를 바탕으로 더 힘차게 나아갈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