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10.4℃
  • 구름조금강릉 17.1℃
  • 박무서울 10.3℃
  • 맑음대전 10.7℃
  • 맑음대구 11.9℃
  • 구름많음울산 11.6℃
  • 맑음광주 12.1℃
  • 맑음부산 14.2℃
  • 맑음고창 14.7℃
  • 구름많음제주 22.0℃
  • 맑음강화 10.6℃
  • 구름조금보은 7.9℃
  • 맑음금산 9.4℃
  • 구름조금강진군 12.4℃
  • 구름많음경주시 12.0℃
  • 맑음거제 14.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국제

독일의 이주아동 교육

모국어 교육에 큰 비중...사회진출까지 지원
다문화, 인종차별 반대, 정치참여 등 프로그램 시행

  • 연합
  • 등록 2011.03.28 10:06:30
독일에서는 이주민들의 사회 융화 문제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으나 정부나 민간 차원에서 이주민 자녀의 교육과 사회진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수십 년째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독일의 이주민 자녀 교육 정책에서 가장 큰 특징은 독일어 못지않게 모국어 교육에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프로그램 간의 연계가 매우 강력해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독일에서는 모국어 습득이 독일어 교육에 방해되기보다는 독일어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좋은 기반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교육 정책은 16개 연방주가 주관하고 있는데, 1980년 처음 시작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RW) 주의 '이주민 가정 자녀의 지원을 위한 지역사무소'(RAA) 프로그램은 이주민 자녀 교육 정책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10여 개의 소(小)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RAA는 학생, 학교, 교사, 학부모를 효과적으로 연계해 학생 뿐 아니라 취학 전 유아와 졸업 후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청소년까지 지원 대상을 폭넓게 규정하고 있다.

일례로 1~3세 유아가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언어 습득을 어떻게 도울 것인지, 자녀와 어떻게 의사소통을 할 것인지에 대한 교육이 실시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프로그램이 모국어 습득을 우선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2언어인 독일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모국어의 언어구조를 잘 이해한 자녀일수록 독일어 습득도 뛰어나다는 개념에 따라 외국어를 구사하는 부모는 자녀의 독일어 학습에 방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독일어 학습의 기반이 되는 모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과정은 외국 출신의 부모를 참여시킴으로써 이들이 독일 사회에 융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부수적 효과도 낳고 있다.

4~6세 아동 대상 '배낭 프로젝트'의 경우 자녀는 물론 부모 및 보육교사를 위한 다양한 언어 교재를 개발해 활용되고 있다. 외국인 가정 부모와 보육시설의 교사가 이주아동에게 모국어와 독일어의 이중 언어능력을 교육할 수 있는 교재가 제공된다.

초등학교에서는 2개 국어를 동시에 구사하고 학생의 정체성 형성을 돕기 위한 '코알라(KOALA.초급과정의 조화있는 알파벳 읽기)', 언어능력 향상과 숙제 지도를 위한 '함께 말하기(MitSprache)' 프로그램이 실시되며 이주가정 청소년들의 학업 향상과 언어능력 배양을 위한 '푀르미그(FoerMig.이주배경을 가진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도 가동되고 있다.

이와 함께 '잠재력(Potenziale)', '미래를 향한 과정' 프로그램은 이주민 가정 자녀가 사회에서 성공적인 직업인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직업 선택 과정을 돕기 위한 다양한 교재가 제공되며, 이주민 자녀들은 협력 기업에서 인턴으로 일하거나 현장 교육을 받는 등의 기회도 얻을 수 있다.

NRW 주정부는 이주민 가정 출신 직업인이 늘어난다는 것이 기업이나 단체에 부정적 효과를 내기보다는 오히려 다양성을 바탕으로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사회의 안정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인종차별과 폭력에 반대하고 시민의식과 용기를 함양하기 위한 '인종차별없는 학교' 프로그램이 독일 전역의 300여개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이주 가정 출신 청소년들의 정치참여와 시민의식 형성에 초점을 맞춘 '코믹스(이주민자녀 통합을 위한 창조적 시스템)', 다문화 교육에 종사하는 교사를 위한 '다문화 능력 자격과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