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이 핵심 공약사업 중 하나로 추진 중인 이른바 혁신학교가 삐걱거리고 있다.
신청했다가 취소하는 등 무리한 추진이란 지적에다 교사 간 갈등 초래, 인접 학교의 피해 등 부작용이 드러나고 있다.
30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부터 운영할 혁신학교(예비)로 무학, 지산, 극락 등 초등 3곳, 지산, 비아, 봉산 등 중학교 3곳, 상무, 동명(비평준화) 등 고등학교 2곳 등 모두 8곳이 신청했다.
지난해 예비학교로 지정된 신가중을 포함하면 9곳이다.
학교에 따라 교사나 일부 학부모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신청했다. 시 교육청은 이들 학교 중 계획서와 현장심사 등을 거쳐 6곳 정도를 확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신청 학교 중 상무고가 신청 일주일도 안 돼 철회했다.
토론과 모둠식 수업, 체험학습 위주 교육으로 대별되는 혁신학교가 과연 수능을 앞둔 고교까지 적용하는 데 따른 부담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철저한 사전 준비나 검증도 없이 혁신학교로 변신, 수능실력 저하 등의 후유증을 우려했다는 지적이다.
시 교육청 내부에서도 수능을 앞둔 평준화 지역 일반계 고교까지 확대하는 것을 두고 논란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상무고는 신청 과정에서 교사 간 찬반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등 갈등까지 초래했다.
53명 교사 가운데 1차에서 27명이 찬성했다가 다른 지역을 견학한 이후 찬성이 21명으로 오히려 줄어드는 등 갈등이 심화했다.
경기도 등 이른바 진보교육감이 추진 중인 혁신학교도 비평준화 지역 고교가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무고 관계자는 "학부모 의견도 찬반이 극명하는 등 혼란만 초래, 결국 신청을 철회했다"고 말했다.
지난해는 신흥 택지지구 내에 있는 수완중이 혁신학교로 지정, 운영되면서 학급당 인원을 대폭 줄이는 바람에 인접 학교가 콩나물 교실로 변하는 등 '풍선효과'로 선의의 손해를 입었다.
김민종 시의원은 이 같은 문제점에 대해 "학생이 학교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에서 행정의 그릇된 판단으로 행복과 불행이 결정되는 것은 지극히 비정상적인 일이다"고 주장했다.
현재 혁신학교는 초등과 중학교 각 2곳씩 4곳이 지정, 운영 중이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내부 갈등으로 신청이 무산됐다"며 "일반계고를 대상으로 운영할지 여부를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