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의 진로지도를 하다보면 부모님이 공무원이 좋다고 해서 공무원을 하겠다고 답하는 것처럼 난감한 상황에 종종 맞닥뜨릴 때가 있다. 장래희망에 대해 물을 때면 아이들이 답하는 직업은 본인이 진정으로 원하는 직업이라기보다 부모님이 원하는 직업이 아이들에게 투사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게다가 일부 학생들은 장래에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하는지 전혀 모르겠다는 답변을 하기도 한다.
진로지도를 할 때 나타나는 이런 문제는 교사 본인도 다양한 직업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지 못하고, 대학 진학을 위해 공부에만 전념하게 만드는 한국의 교육제도 안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이 무엇이고 그에 맞는 직업이 무엇인지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한 것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진로교육과 관련해 영국에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직업체험(Work Experience)을 실시하고 있다. 이런 체험은 대개 정규교육과정 외의 활동으로 이뤄지며, 학생들이 실제로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관련 대학에 진학하거나 성인이 된 후 자신에게 알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밑거름이 된다. 영국의 직업체험활동은 자원봉사의 개념으로 무보수로 이뤄지는 경우도 있고, 실제 급여를 받고 이뤄지기도 하며, 체험 기간과 종류도 다양하다.
영국 고용부 장관 크리스 그레일링(Chris Grayling)은 “현장실습이 청소년들의 직업 선택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직업체험을 통해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던 분야를 직접 체험해 봄으로써 그 분야에 대해 더 알아가는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관련 회사나 주요 관계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직업체험은 학생들의 의사결정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며 좀 더 성숙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영국에서는 직업체험활동의 네트워크와 관련해 변화가 필요함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청소년들이 현장실습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은 부모님이나 친구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서인데, 우수한 인맥의 보유 여부에 따라 직업체험의 질과 종류에 큰 차이가 나타나 잠재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직업체험활동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런 불평등한 구조를 개선하고 좀 더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해 시스템을 정비하면 기존의 낡은 사회 분배 구조에서 벗어나 직업선택의 새로운 장을 여는 좀 더 나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진로교육 현실을 놓고 생각했을 때, 이런 영국의 직업체험활동은 큰 시사점을 주며, 한국의 실정에 맞게 변화시켜 적용해 본다면 학생들의 장래 직업선택에 있어 좀 더 현실적인 대안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