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라벌고 시사경제 동아리 ‘ECON’의 학생들은 매주 토요일 오전 학교에 모여 대학에 진학한 선배들을 초청해 강의를 듣고, 초등 저학년 대상 ‘새싹 경제캠프’를 준비하는 등 동아리활동에 여념이 없다.
주5일수업제가 전면 실시된 이후 찾아온 변화다. 20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성 열린 ‘주5일제 사례로 본 학교현장의 실천과제’ 정책워크숍에서 ‘ECON’ 회장인 배경훈(고2) 학생은 “일주일에 한 시간 배정됐던 CA 시간만으로는 깊이 있는 의견 교류와 학습이 불가능한 측면이 있었는데, 토요일 오전으로 옮기니 준비시간이 넉넉해져서 좋다”고 밝혔다. 서라벌고는 도서관 건물에 동아리별로 방을 배정하고 토요일에도 개방하고 있다.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동아리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서울 청원고 과학 동아리 ‘미르’의 회장인 노준영(고2) 학생도 동아리 활동으로 얻은 것이 많다. 노 군은 “기획에서 진행, 평가까지 스스로 활동하면서 성격도 적극적으로 변하고,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배려심과 리더십도 향상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개선할 점은 남았다는 것이 두 학생의 공통된 의견이다. 노 군은 “부모님들은 동아리 활동이 입시에 방해된다는 편견을 갖고 계신 경우가 많고, 체험프로그램이 다양한 초·중학교에 비해 고교의 경우 프로그램이 현저히 적어 활동이 어려운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7월 실시될 ‘새싹경제캠프’를 준비하고 있는 배 군은 복잡한 행정절차 때문에 일정을 두 달 가량 연기해야 했다. 배 군은 “직접 교육청과 협의하고, 학교 섭외도 해야 하는데 공문을 보내달라는 등 절차가 복잡해 학생 개인이 진행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털어놨다. ‘ECON’ 지도교사인 황경진 교사는 “지자체나 교육청 등 관련기관에서 토요프로그램 지원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갖고 역할을 분명히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이번 워크숍을 바탕으로 내달 11일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제3차 미래교육공동체포럼’을 개최한다.